최신기사
“퇴근하면 녹초” 직장인 68%…소득 적고, 여성일수록 심해
뉴스종합| 2017-02-25 09:10
[헤럴드경제] 젊은 직장인 3분의 2 가량은 퇴근하면 아무것도 못할 만큼 녹초가 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에 대해 직장인들은 일과 개인생활의 조화를 위한 조건으로 근로시간 단축이나 유연근로 보다 칼퇴근이 우선이라고 입을 모았다.

25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20∼40대 직장인 2000명을 상대로 설문한 ‘2040세대 취업남녀의 시간사용과 일ㆍ생활에 관한 조사’ 결과, 응답자의 67.8%가 ‘일을 하고 나면 지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답했다. ‘매우 그렇다’는 직장인이 12.0%, ‘그렇다’는 답변이 55.8%였다.

[사진=123rf]

일로 인한 소진감은 여성(71.4%)이 남성(65.1%)보다 더 컸다. 월 수입 200만원 미만인 경우 70.3%가, 500만원 이상 고소득자는 60.9%가 퇴근 이후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데 동의해 소득이 낮을수록 피곤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에서도 쉴 틈이 없다’는 응답은 52.4%로 절반이 넘었다. 여성(55.5%)과 30대(57.8%)가, 배우자가 있거나(62.3%) 맞벌이(66.2%)일수록 퇴근 이후 더 바빴다. 영유아 자녀가 있는 경우는 68.6%가 귀가 이후에도 분주하다고 답해 육아 부담이큰 것으로 분석됐다. 평소 ‘가족과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해 아쉽다’는 답변도 77.4%였다.

일ㆍ가족ㆍ개인 생활의 이상적인 시간 배분 역시 현실과 괴리가 컸다.

답변을 평균해보면 직장인들은 수면과 휴식ㆍ여가를 포함한 개인생활에 47.1%를 사용하고 근로시간과 가족생활 시간에 각각 29.6%, 23.2%를 쓰길 원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주어진 시간의 42.6%를 일하는 데 썼고, 개인생활은 41.4%, 가족생활시간은 16.0%밖에 안 됐다.

직장인들은 이런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줄이고 희망에 가깝게 시간을 나눠쓰려면 가장 먼저 정시퇴근 보장(66.0%)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유급휴일ㆍ연차 사용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도 53.9%로 집계됐다.

업무량 감축을 동반한 근로시간 단축(42.0%)이나 근로 시간ㆍ장소의 유연한 조정(40.7%)은 칼퇴근 요구에 못 미쳤다. 정시퇴근 요일을 지정한 ‘가족사랑의 날’ 등 프로그램을 확대,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22.1%)은 업무시간 이후 문자ㆍ연락ㆍ지시를 금지해야 한다(38.0%)는 의견 보다 적었다.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밤에 카톡이나 안 왔으면 좋겠다’며 정부의 내수진작 안에 냉소하는 반응이 많다.

7년차 회사원 이태석(33)씨는 “2시간 일찍 퇴근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며 “차라리 칼퇴근을 보장해 주는게 낫다”고 말했다.

여성정책연구원은 ‘양성평등기본법 시행에 따른 가족정책의 이슈와 과제’ 보고서에서 “법정 노동시간 준수 등 기본권리를 보장하는 조직문화 정착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며 국내에도 최소 휴식 보장제도 논의가 있고 일명 ‘퇴근 후 업무 카톡 금지법’이 국회에 발의된 상태여서 관련 논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