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원안위, “6차 북핵실험 증거 방사성 물질 최다 검출”
뉴스종합| 2017-09-13 12:00
- 방사성 핵종 탐지 종합 결과 발표
- 방사성 제논(Xe) 총 13회 검출 북핵 증거 결론
- 다른 방사성 핵종 불검출 어떤 핵실험인지는 확인 못해


[헤럴드경제=최상현 기자]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지난 3일 북한의 6차 핵실험을 확증할 수 있는 방사성 물질 제논(Xe)이 총 13차례 검출됐다고 밝혔다. 북핵 실험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판단할 수 있는 방사성 물질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검출 횟수도 북한이 핵실험을 시작한 이후 가장 많다.

원안위는 13일 오전 원안위 대회의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의 ‘6차 북한 핵실험 이후 방사성 핵종 탐지 종합 결과’를 발표했다.

원안위는 6차 북한 핵실험 직후 24시간 상황반을 설치, 운영하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전문팀과 함께 방사성 핵종에 대한 탐지 활동을 수행했다.

원안위는 방사성 제논(Xe)에 대해 동북부와 서부 지역에 설치된 2개의 고정식과 해상에서 이동식 장비를 활용해 12시간 간격으로 육상 32회(각 16회), 해상 11회 등 총 43회에 걸쳐 방사성 제논을 포집했다. 세슘 등 입자성 방사성 핵종 포집을 위한 공중 포집도 10회에 걸쳐 수행했다.

제논(Xe) 및 입자성 방사성 핵종 세슘(Cs) 등과 같은 핵종은 핵실험에 대한 유무 및 특성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원안위에 따르면 지난 12일 자정 현재 분석 결과 동북부 지역에 설치된 고정식 장비에서 제논-133이 0.16~1.14밀리베크렐(mBq/m3) 범위에서 총 9회 검출됐다.

동해상에서 운영한 이동식 장비에서는 제논-133이 0.20~0.33밀리베크렐(mBq/m3) 범위에서 총 4회 검출됐다.

이 같은 검출횟수는 북핵실험 이후 가장 많은 수치에 해당한다고 원안위는 설명했다.

입자성 방사성 핵종은 수차례의 공중 포집 활동에도 불구하고 검출되지 않았다.

원안위는 6차 핵실험이 이뤄진 북한 풍계리 지역에서 기류가 유입된 것으로 분석하고 이번에 검출된 제논-133이 핵실험과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원안위 관계자는 “과거 북핵 실험 이후에도 미량의 제논이 포집됐으나 당시에는 핵실험과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하기 어려웠다”며 “핵실험과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KINS는 “북핵실험 이후 공기 기류 변화와 신속한 포집 활동으로 제논 검출 횟수가 과거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제논-133 이외의 다른 방사성 제논 핵종이 검출되지 않아 어떤 종류의 핵실험인지에 대해서는 확인하지 못했다고 원안위는 설명했다.

한편 현재까지 전 국토 환경방사선 준위는 평상시 수준인 50~300나노시버트(nSv/h)을 유지하고 있어, 북한의 핵실험으로 인한 환경 방사선 준위 변동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원안위는 밝혔다.

bonsang@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