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유물유적
베일 벗는 창덕궁 희정당의 9m 금강산 벽화
라이프| 2017-12-12 15:43
고궁박물관, 13일부터 석달간 전시

[헤럴드경제=함영훈기자] 창덕궁엔 왕실 여인들의 처소인 희정당이 있다. 조선 왕실은 미술을 사랑했고, 희정당엔 동아시아 최고의 절경 중 하나인 금강사 벽화가 그려져 있다.

그러나 희정당엔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돼 극소수 전문가를 제외하곤 이 걸작을 보지 못했다. 베일에 싸여 있던 희정당의 금강사 벽화가 모습을 드러낸다. 그림의 폭이 무려 9m나 된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연수)은 오는 13일부터 2018년 3월 4일까지 ‘창덕궁 희정당 벽화’ 특별전을 국립고궁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희정당(熙政堂) 벽화는 1920년 해강 김규진((海岡 金圭鎭, 1868~1933)이 그린 <총석정절경도(叢石亭絶景圖)>와 <금강산만물초승경도(金剛山萬物肖勝景圖)> 두 점이다.

[사진=김규진_총석정절경도]
[사진=김규진_금강산만물초승경도]
총석정 절경도는 실제보다 주상절리 기둥을 가늘고 길게 묘사해 감흥을 선명하게 했다.

금강산 만물초 승경도는 사람으로선 한번에 볼수 없는 만물상 일대 절경을 한눈에 보이도록 그렸다.

비단에 그린 그림을 종이에 배접하여 벽에 붙이는 부벽화(付壁畵) 형식으로 제작됐으며, 세로 196m, 가로 883m에 이르는 대작이자 마지막 궁중 장식화다. 조선 시대 진경산수 화가들이 즐겨 그린 금강산을 큰 화폭에 그려 희정당 벽면을 장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작품이다.

1920년 제작되어 오랜 세월 노출되어 있으면서 훼손이 진행되어 보존처리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는 이 두 점의 벽화를 2015년 8월 분리해 2016년 12월까지 보존처리를 했다. 처리를 마친 후 원본은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하고 희정당에는 모사도를 제작해 붙였다. 희정당 내부는 그동안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았고, 2005년 한 차례 공개되었을 때도 전각의 규모가 워낙 커 멀리서만 확인이 가능했기 때문에 이렇게 벽화를 가까이 볼 수 있는 기회는 제작된 지 98년 만에 사실상 처음 있는 일이다.

[사진=창덕궁 희정당]

창덕궁 희정당은 대조전(大造殿), 경훈각(景薰閣)과 함께 내전(內殿)을 구성하는 건물로, 본래 국왕이 신하들을 만나 국정을 보던 편전(便殿) 역할을 했다.

1917년에 일어난 화재로 내전 전각이 모두 소실되면서 1920년 외관은 한옥양식으로, 가구와 실내장식은 서양식으로 재건했다.

김규진은 주로 묵죽도와 서예작품으로 유명하나 기념비적 대표작인 희정당 벽화는 금강산 실경을 주제로 하였다. 그는 금강산 표훈사, 신계사 등의 의뢰로 큰 글씨를 써서 이를 암벽에 새기기 위해 금강산을 여러 차례 여행하였다. 금강산에서 전람회나 휘호회를 열었고, 금강산 그림과 여행기를 신문에 연재하였으며, 이를 모아 ‘금강유람가金剛遊覽歌’라는 단행본도 발행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희정당 벽화가 제작된 1920년 전후에 집중되었는데, 당시 금강산이 대중 관광지로 개발되어 관광 열풍이 불었던 상황과 관련이 깊다. 이때 발행한 단행본인 ‘금강유람가’도 13일부터 19일까지 일주일간 전시된다.

전시기간중에는 고궁박물관 본관 강당에 4개의 특별강연회가 마련되었다. 2018년 1월 18일에는 ▲1920년 창덕궁 내전 권역 중건의 건축사적 고찰(남호현 순천대학교 교수), ▲전통과 근대의 경계인: 해강 김규진의 삶과 예술세계(목수현 명지대학교 객원교수), 2월 8일에는 ▲20세기의 금강산 그림(이태호 전 명지대학교 교수), ▲해강 김규진의 금강산 기행과 금강산도(이홍주,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사) 강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또한, 초등학교 4~6학년을 대상으로 ‘활동지와 함께 하는 전시해설’(선착순 15명, 12.16/ 12.23/ 2018.1.2~22)이 진행되며, 초등학생을 포함한 가족들이 함께 참여하여 관람이 제한된 창덕궁 희정당을 답사하는 ‘창덕궁 희정당 답사’(30명 내외, 2018.1.8/ 1.15/ 1.22) 등 특별전과 연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강연회 참석은 현장에서 접수하며, 교육프로그램 참가를 원하는 분들은 오는 18일 오전 10시부터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www.gogung.go.kr, 교육–교육 신청)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행사 참여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전화(02-3701-7634)로 문의하면 된다.

abc@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