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크릿
‘위비봇ㆍ핀고’ 금융기관 챗봇 도입 트렌드는…
뉴스종합| 2018-03-17 07:50
우리 ‘위비봇’, 하나 ‘핀고’ 등
챗봇 서비스 도입 적극적
비용절감, 자산관리 활용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핀테크(fintech)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챗봇’(chat-bot)을 활용한 금융서비스가 속속 도입되고 있다.

17일 산업은행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디지털 신기술에 기반을 둔 새로운 금융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해외 금융기관들의 인공지능(AI) 기반 챗봇 서비스 도입이 확대되는 추세”라며 “국내 금융기관들도 비용절감 등을 위해 챗봇 서비스 도입에 적극적이며, 향후 자산관리(Wealth Management) 등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챗봇의 역할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사진=우리은행]

챗봇은 ‘수다를 떨다’(chat)와 ‘로봇’(robot)이 결합한 합성어로 사람 대신 인공지능이 문자나 음성으로 대화하는 소프트웨어를 지칭한다.

이같은 인공지능(AI)를 기반으로 하는 챗봇의 활용범위가 확대되며 해외 금융기관들은 물론 국내에서도 이를 이용한 금융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우리은행이 ‘위비봇’을 개발했으며 KEB하나은행이 ‘핀고’를 내놓았다. 농협은행의 ‘금융봇’, 신한은행의 ‘쏠’, 웰컴저축은행의 ‘웰컴봇’ 등도 국내에서 운영되는 챗봇이다.

노용관 산은 미래전략개발부 선임연구원은 “국내 금융기관들도 비용절감 등을 위해 챗봇 서비스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로보 어드바이저(robo-advisor)와 결합해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 등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금융기관들은 기관별로 대규모 인원과 큰 비용이 수반되는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어, 비용절감 및 사용자 편의 증대 등을 위한 챗봇 서비스 도입에 적극적이라는 평가다.

챗봇은 향후 로보어드바이저와 결합해 금융상품을 추천하고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등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로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 고객 금융거래 패턴이나 니즈에 맞는 금융상품을 추천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

노용관 선임연구원은 “기술발전 및 비대면 거래 증가 등에 따라 향후 자산관리 등 금융서비스 관련 챗봇의 역할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스마트폰 등을 통한 비대면 금융거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비용절감 및 업무 효율화 등을 위한 챗봇의 활용 영역 확대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고객응대와 같은 단순업무 뿐만 아니라 자산관리 등 핵심업무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금융기관의 수익성 및 인력운용 등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ygmoo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