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분노로 번지는 ‘라돈 침대’ 공포…집단소송 이어 ‘도심 집회’
뉴스종합| 2018-05-21 09:56
-피해자 카페 회원수 1만3000여명 달해
-소비자원 문의전화도 2000여건 넘어
-“방사선 물질 관리 소홀” 광화문 집회도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 주부 A씨의 집 안방 침대는 현재 비닐커버로 꽁꽁 싸매져 있다. 사용하고 있는 침대 제품군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고 발표한 이후다. A씨는 직접 C사의 측정기를 구매해서 침대의 라돈 수치를 검사했다. 이후 침대를 싸 놓고 안방 출입을 삼가고 있다. 그는 “문제가 있는 침대를 수거라도 해갔으면 좋겠는데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전혀 대응이 없다”고 하소연했다.

‘라돈침대’로 촉발된 또 다른 케모포비아(화학물질에 대한 공포증)가 전국으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최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대진침대에서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대진침대 제품에서 1미리시버트(msvㆍ기준치의 최고 9.3배 초과)를 초과하는 방사선 피폭선량이 검출됐다고 발표했지만, 정부와 제조사의 후속조치가 지지부진한 탓이다. 제조사 고객센터는 현재 통화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고, 원자력병원과 한국 소비자원 등에 문제 해결을 요청한 고객들도 미온적인 대처에 분노가 커졌다. 

라돈 성분이 검출된 제조사 침대를 비닐로 싸맨 모습. [라돈침대 관련 카카오톡 온라인채팅방 갈무리]

21일 업계와 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직접 방사성 측정기를 구매해서 방사성 피폭량을 확인하고, 집단소송 준비ㆍ도심집회에 나서고 있다.

대진침대 라돈 사건 집단 소송 인터넷 카페에는 21일 기준 1만3000여명이 가입해 있다. 네이버 밴드 메신저와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등에도 라돈침대로 피해를 입은 피해자들이 모여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직접 구입한 측정기를 통해 침대 방사선 수치를 측정하는가 하면, 질병을 겪은 피해자들은 진단서 등을 찍어 올리는 경우도 있어 눈길을 끌었다.

이중 2000여명 가량은 현재 소송 참여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소송 참여 금액은 신체적으로 피해가 있는 경우와 정신적인 피해만 있는 경우, 두 가지 방식으로 참여가 가능하고 여기에 따라서 참여 금액도 달라진다. 

소비자원에는 지난 18일까지 2320여건의 소비자 피해 문의가 접수됐고, 집단분쟁조정 신청에 나선 피해 건수도 98건에 달했다. 집단분쟁조정 절차는 물품 등으로 인해 같거나 비슷한 유형의 피해를 본 소비자가 50명 이상인 경우 가능하다. 원자력병원 상담센터에도 하루평균 260여건의 문의전화가 걸려오고 있다. 

소비자가 직접 침대의 방사선 물질 검출량을 측정한 모습. [라돈침대 관련 카카오톡 온라인채팅방 갈무리]

소비자 관련 시민단체들도 집회를 통해 여기에 대응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21일 광화문 KT본사 앞에서 집회를 연다.

이들은 정부가 지난 2007년 온열매트에서 방사성물질이 나오면서 정부는 생활제품의 방사능 검출량을 규제하는 ‘생활주변 방사선안전관리법’을 마련하여 2012년부터 시행하고 있지만, 실제 방사선 물질 관리에는 소홀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리콜조치 이외 제품 중 15종 모델에 대한 우선 검사를 발표했지만 추가적인 검사결과가 나오지 않으면서 소비자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협의회 측은 “내부 피폭에 대한 우려가 큰 만큼 라돈침대 이용 소비자에 대한 피폭 검사 방안 마련과 제공, 건강상의 위해 평가 실시가 있어야 한다”면서 “대진 침대 이외 음이온 발생 제품 등 방사능 발생 우려가 큰 생활용품에 대한 전면 조사 및 대응책 마련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zzz@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