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역대연봉’ 금융파업...소비자 볼모 잡을까
뉴스종합| 2018-07-12 10:26

가결율 높지만 참여율 낮을듯
비대면거래 많아 불편 제한적
대출연장등 일부 서비스 영향

[헤럴드경제=도현정 기자]금융노조가 총파업 방침을 정하면서 은행 등 금융기관 이용자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하지만 비대면 거래가 증가한 데다, 파업참가율이 낮을 가능성이 커 불편은 최소화될 전망이다.

금융노조는 11일 오후 33개 지부 대표자들의 만장일치로 총파업을 결정했다. 내달 7일 조합원 10만여명을 상대로 찬반투표를 진행한다. 2015년에 95.2%, 2016년 95.7%의 찬성이 나왔던 전례를 감안하면 압도적인 가결이 예상된다.

사측은 2016년 당시 당국이 발표한 참여 인원이 1만8000여명(15%)이었던 점을 들어 이번 파업도 참여율이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 은행 관계자는 “2016년에도 지점당 참여 인원이 1~2명 정도여서 ‘금융대란’은 없었다”고 전했다.

금융노조 측 관계자는 “2016년 파업 참여 인원은 5만명 정도였고, 이번 참여율도 당시 수준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파업 참여 인원에 대해서는 매번 노조와 당국의 집계가 큰 차이가 난다. 하지만 과거 파업시 금융불편이 크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도 비슷할 수 있다.

한 금융사 관계자는 “인터넷이나 모바일로 업무를 보는 비대면 비율이 90%를 넘는 수준”이라며 “창구가 마비된다던지 하는 일은 없다”고 밝혔다.

물론 불편이 전혀 없을 수는 없다. 대출 상담이나 신청, 대출 연장 등은 점포를 찾을 수밖에 없는 업무다.

한 소비자는 “하다못해 타행 OTP(일회용비밀번호)를 등록하려 해도 점포를 가야하는 환경인데, 어떻게 불편이 없을 수 있겠느냐”며 불만을 토로했다.

하지만 소비자 불편을 커질수록 ‘억대 연봉’이 즐비한 금융권 파업에 대한 여론이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이 딜레마다. 이번 노조의 파업의 이유도 일반 국민들의 눈높이와는 차이가 크다.

노조 측은 주 52시간 근로제 전면시행에 따라 근로시간은 줄이면서도 임금은 올리고(4.7%), 정년은 늘리라고 요구했다. 사측은 근로시간이 줄어든는 만큼 임금은 많이 올리기 어렵고(1.7%), 정부에서 ‘희망퇴직’을 장려하는 상황에서 정년을 늘리기도 어렵다는 입장이었다.

kate01@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