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유물유적
누가 익산 쌍릉을 무왕의 것이라 인정하지 않았나
라이프| 2018-07-18 17:01

[헤럴드경제=함영훈 선임기자] 조선전기에 편찬된 고려사(1449~1451년)는 전북 익산시 석왕동 왕릉을 가르켜 “금마군(익산)에 후조선(後朝鮮)의 무강왕(武康王)과 그 비의 능이 있다”고 썼다.

고려 충숙왕때인 1327년 이 능이 도굴됐고, 도굴범들이 탈옥하자 책임자를 탄핵하려할 때 ‘도굴범들이 (능에서 발굴한) 금붙이를 많이 갖고 있다’는 사실이 회자됐다.

고려사 지리지, 세종실록 지리지(1454년), 신증동국여지승람(1530년)은 “쌍릉은 말통대왕릉이라고도 부르는데, 말통은 백제 무왕의 어릴때 이름”이라고 기록돼 있다.

이쯤 됐음에도, 쌍릉이 익산 천도를 도모했던, 익산을 백제의 새 터로 삼은 유일한 황제, 무왕의 묘라고 인정하지 않았던 우리 사학계와 문화재 당국이 일본제국주의 세력이 이 무덤을 파헤친 지 꼭 100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쌍릉 한 켠에 있던 유골 분석에 나섰다.

무엇때문에 무왕의 무덤임을 인정하는 것을 주저했는지, 무슨 연유로 100년이 지나서야 유골 분석을 했는지 알기 어렵지만 심증은 간다. 무왕은 한국과 중국을 오가며 백제를 강건하게 만들 자질을 가진 황제로 알려진다. 호칭은 ‘대왕 폐하’라고 기록돼 있다.

중국의 정사 기록 중 한 책인 ‘삼국지 위지 동이전’ 한(韓)의 기록에는 “위만의 공격을 받은 무강왕이 바다를 건너와 왕이 되었다”고 쓰여있다 이 내용을 받아서 고려때 이승휴는 제왕운기(1287년)를 통해 “무강왕이 금마군으로 이주해 도읍을 세웠다”고 기록했다.

무강왕, 말통대왕은 무왕이다. 말통은 동아시아 단어 형성에 영향을 준 범어 ‘말라(malla:힘센)’와 ‘퉁가(tunga:왕,우두머리,꼭대기,정상)’의 합친 말로 해석된다. ‘강한 왕’이라는 뜻이다.

여러 사서로 미뤄 그의 활동무대는 환황해권으로 폭넓었다. 사대적, 친일적 학자와 식민사관이 좋아하는 사서를 제외하곤, 여러 사서에서 백제가 황해를 둘러싸고 한반도 서쪽의 동(東)백제와 중국 연안지역의 서(西)백제로 환황해권 영토를 갖고 있었다는 기록들이 많다. 무왕의 활약상은 어쩌면 사대주의, 친일 사학자에게 불리한 내용이었을지도 모른다.

숱한 기록의 고증에도 불구하고 확신 갖기를 주저하던 사학계와 문화재 당국은 유골이 발견된 시점인 지난 4월부터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익산시, 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소, 가톨릭의대 응용해부연구소, 주식회사 라드피온, 미국 베타연구소, 주식회사 퓨전테크놀로지 등과 함께 102개 조각의 이 인골들을 분석했다.

키가 고서에 나타난 기골장대형 무왕의 묘사와 비슷하고, 인골의 매장 시점 역시 무왕 사망기와 대체로 일치한 점, 최고 지위가 아니고는 쓰기 어려운 석재와 목관 등 사용한 점 등을 근거로 무왕이 것임이 더 확실해 졌다고 밝혔다. 삼국사기(1145년)는 “풍채가 훌륭하고, 뜻이 호방하며, 기상이 걸출하다”고 묘사한다.

인골을 뒤늦게 발견한 점에 대해서는 “지난해 8월부터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사업의 하나로 와 공동으로 쌍릉에 대한 발굴조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석실 끝부분에서 여태까지 그 존재가 알려진 바 없던 인골 조각이 담긴 나무상자를 발견했다. 100년 전 일제가 발굴하면서 다른 유물들은 유출한 반면, 이는 꺼내가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차라리 최소한 100년, 멀리는 수백년 방치했다는 것이 더 솔직한 표현일지도 모르겠다.

익산을 백제의 새 터로 잡은 임금은 사실상 무왕 뿐이다.

이제 갖가지 편견을 걷어내고, 진짜 백제, 진짜 무왕에 대해 동아시아 사서를 샅샅히 뒤져 실체를 밝혀내야 한다. 사대사학자, 식민사학자들이 교과서 처럼 인용하며 들이대는 책도 사실은 숱한 사서의 일부일 뿐이다.

abc@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