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文대통령 “軍기강·경계태세 우려…국군통수권자로 책임 느낀다”
뉴스종합| 2019-07-19 13:50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낮 청와대에서 열린 '예비역 군 주요인사 초청 오찬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왼쪽은 정경두 국방부 장관. [연합]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북한 목선 삼척항 입항과 허위자백 논란 등) 최근 벌어진 몇가지 일로 우리 군의 기강과 경계 태세에 대해서 국민들께서 우려를 하고 있다. 국군통수권자로서 책임을 느끼며 국방부장관과 합참의장을 중심으로 엄중하게 대응해나가고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인왕실에서 예비역 군 원로들을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진행하면서 “강한 국방력 이야말로 평화를 만들어내는 원동력”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오찬에는 김진호 재향군인회장, 유삼남 성우회 회장, 이영계 육사총동창회 회장 등 원로들과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박한기 합참의장과 함께 오찬장을 찾았다.

문 대통령은 “군 원로들과 예비역들이야말로 국가의 운명을 자신의 운명으로 느끼면서, 그 누구보다 전쟁의 참혹함과 또 평화의 소중함을 절실히 느끼고 경험하신 분들이다”며 “전역 후에도 변함없이 나라와 국민을 걱정하고 계신 군 원로 예비역 주요 인사들께 최근의 안보 상황을 설명드리고 또 고견을 듣고자 오늘 이 자리를 마련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내년은 6.25 70주년이 되는 해이지만 완전한 종전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우리 내부의 이념 갈등이 여전히 있지만, 적어도 한반도에 다시는 전쟁이 없어야 한다라는 데에는 인식이 같을 것이다”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가 국방개혁 2.0을 차질없이 추진해나갈 것이라며 “급변하는 안보 상황에 맞게 폭발적 안보 역량을 갖출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한반도와 동북아 역내 평화와 안정의 핵심축인 한미동맹은 지구상 마지막 남은 한반도의 냉전체제를 해체하고 항구적 평화의 원동력”이라며 “정부는 굳건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전시작권통제권 조기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주국방은 독립된 국가라면 이뤄야 할 목표”라며 “자주국방의 위에서 한미동맹은 더 굳건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전지작전통제권 전환은 연합 방위력을 더 강화시켜서 한미동맹을 더욱 더 발전시켜나가게 될 것”이라며 “정부는 첨단 감시 정찰 또 원거리 정밀 타격 등 자주 국방을 위한 핵심 능력을 확보해 우리 스스로 우리 국방을 책임지는 군,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뒷받침하는 군을 만들어나가겠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낮 청와대에서 열린 '예비역 군 주요인사 초청 오찬 간담회'에 입장하며 정승조 한미동맹재단 회장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

문 대통령은 군 원로들에게 지난해 남북 판문점 선언과 올해 6·30 남북미 정상의 판문점 회동 등의 성과도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남북은 판문점 선언과 평양 선언을 통해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의 기틀을 마련했고 특히 9.19 남북 군사 합의를 통해 남북간 군사적 긴장을 크게 완화시켰다”며 “지난 6월 30일 정전협정 66년만에 북미 두 정상이 판문점에서 손을 맞잡을 수 있었던 것도 그와 같은 군사적 긴장 완화의 토대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특히 “판문점 회동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정착이 한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 만큼 정부는 한반도 운영의 주인으로서 남북미가 함께 한반도 평화를 이룰 수 있도록 주도적 역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굳건한 한미 동맹과 강한 국방력을 기반으로 평화를 만들어내고 평화를 통해 공동 번영의 길을 열어나가는 평화와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남북은 끊어진 철도와 도로 연결을 시작했고 남북 및 러시아간 가스관 연결을 위한 실무 협의도 착수했다”며 “국민이 평화의 가치를 피부로 느끼고 또 평화가 국민 한사람 한사람의 삶에 이익이 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구체적 노력을 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에서 평화와 번영의 선순환이 이뤄진다면 남과 북은 물론, 동북아 역내에 새로운 협력질서가 창출 되고 또 동아시아의 공동 번영에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며 “북미 대화가 완전한 비핵화와 북미 관계의 정상화로 이어지고 또 정전협정이 평화협정으로 대체되어야 비로소 새로운 한반도 체제가 열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mkkang@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