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서울시, 5만여㎞ ‘땅밑 시설물’ 통합관리
생생코스닥| 2019-07-25 11:45
25일 서울시청사 대회의실에서 이경실(왼쪽부터) 한국지역난방공사 부사장,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 박원순 서울시장, 황창규 KT 대표이사, 채희봉 한국가스공사 사장, 곽수동 한국수자원공사 부사장이 ‘지하시설물 통합 안전관리’ 협약을 맺은 뒤 협약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서울시는 ‘컨트롤타워’가 되어 지하시설물의 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통신·가스·전기 등 지하시설물을 관리하는 각 기관은 상설협의체를 구성해 공동 참여하는 방식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최원혁 기자/choigo@heraldcorp.com
도시의 지하에는 상·하수도관, 전력선, 통신선, 가스관 등 다양한 시설물이 묻혀있다. 관리 주체도 통신사, 전력공사, 가스공사, 수자원공사 등 제각각이다.

시에 따르면 시내 전체 지하시설물은 모두 5만2697㎞에 이른다. 지구 1.3바퀴를 돌수 있는 길이다. 이 가운데 절반이 넘는 2만7739㎞(53%)는 가스, 전기, 통신, 난방 등 타 기관이 관리하는 시설물이다.

서울시는 이처럼 제각각인 지하시설물 관리를 시가 ‘컨트롤타워’가 돼 통합관리한다고 25일 밝혔다. 시가 주체가 되어 통합 관리하고, 각 기관이 상설협의체를 구성해 공동참여하는 식으로 지하시설물 안전관리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이다.

지난해 아현동 통신구 화재와 목동 열수송관 파열, 최근 문래동 ‘붉은 수돗물’ 사태 같이 지하시설물의 노후화·과밀화로 인한 문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같은 대규모 지하 개발 시 사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취지에서다.

이를 위해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 날 시청에서 황창규 KT 회장,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 채희봉 한국가스공사 사장, 곽수동 한국수자원공사 부사장, 이경실 한국지역난방공사 부사장과 지하시설물 관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시는 이 날 지하시설물 통합·선제적 안전관리를 뼈대로 한 ‘서울시 지하시설물 통합안전관리대책’을 처음으로 발표하고, 2023년까지 관련 사업에 모두 2조7087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하안전 통합체계 구축 ▷선제적·체계적 안전관리 ▷스마트기술 예방시스템 개발 등 3대 분야에서 10개 추진과제를 시행한다.

먼저 서울시 행정2부시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5개 협약기관과 전기안전공사, 가스안전공사 등이 참여하는 ‘서울시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협의체’를 하반기 중 발족한다. 이어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합동점검반’을 편성한다.

앞으로 시는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서울시 관리도로를 5개 권역으로 나눠 2022년까지 5년간 1222㎞(178개 노선)에 대해 공동(空同·지하의 빈 곳) 조사를 벌인다. 이렇게 하면 그간 각 기관이 따로 진행해 발생한 중복탐사 문제를 해결, 5년간 70억원의 예산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아울러 기존 도심에 전력구, 통신구, 상수도관을 공동 수용하는 ‘소형 공동구’ 도입을 검토한다. 이런 내용을 담은 ‘서울시 공동구 기본계획’을 2020년까지 세운다.

1970·80년대 집중적으로 매설돼 노후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상하수관로, 열수송관 정비에 2023년까지 예산 2조4699억원을 조기 투입한다.

세부적으로 ▷노후 하수관로 정비 1조9301억원(2023년 완료) ▷노후 상수도관 정비 1789억원(2020년) ▷노후 열수송관 정비 1592억원(2023년) ▷노후 전기·통신·가스관 정비 2017억원(2023년) 등이다.

선제대응을 위해 내년에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통합정보 분석시스템’을 구축한다. 이에 앞서 점검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빅데이터로 분석해 보수보강 시점을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을 연내 개발한다. 연내 은평공동구에 설치예정인 궤도주행 로봇 등 관리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신기술도 적극 도입한다.

박원순 시장은 “지하시설물은 한번 사고가 발생하면 복합재난의 원인이 되므로 철저한 예방 활동과 신속한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서울시가 컨트롤타워가 돼 통합 관리하고 각 기관과 협력해 서울의 지하 안전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