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수소인프라 구축 박차]2030년 수소가격 절반 수준으로 낮춘다…지역별 수소생산 특화
뉴스종합| 2019-10-22 06:37

[헤럴드경제=정경수 기자] 오는 2022년까지 연간 약 3만톤의 수소가 생산되고, 가격도 kg당 6000원대로 떨어질 전망이다. 2030년에는 수소 가격이 현재의 절반 수준인 4000원대로 하락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22일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 1월과 이달 15일 각각 발표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 전략'의 후속 조치다.

안정적으로 수소를 공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방점을 뒀다. 부생수소와 추출수소를 핵심 공급원으로 활용하고 향후 수전해와 해외 생산 수소를 활용한다는 구체적인 전략을 세웠다.

지역별로 역점을 두는 생산 방식을 달리했다. 생산지 편중에 따른 수송 비용을 줄이고, 다양한 생산 방식을 도입해 가격을 줄이기 위한 전략이다.

석유화학 공업이 발달한 인천광역시과 울산광역시, 전라남도 여수시 등 지역 소재 충전소에는 부생수소를 공급한다. 부생수소는 정유 공장의 나프타 분해 과정에서 부가적으로 생산되는 수소다.

특히 수도권에 대규모로 활용될 예정이다. 인천광역시 등에서 연간 약 5만톤씩을 생산하면 수소 유통 허브를 통해 버스 차고지 등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유통 단계를 이어주기 위해 약 30km의 수소 전용 파이프라인도 2023년까지 구축한다. 석유화학 업체에서 수소 원료를 공급받아 가공한 후 정유사 등 수요 업체에 제공한다.

강원도 삼척시와 경상남도 창원시는 대규모 액화천연가스(LNG) 인수기지를 활용해 추출수소를 집중 생산한다. 추출수소는 천연가스를 고온·고압에서 분해해 뽑아낼 수 있다. 해외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식이다.

주변에 바다가 있는 제주도, 전라북도 새만금 지역 등은 수전해 수소를 특화시킬 계획이다. 수전해법은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주변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다만 생산 단가가 높은 문제가 있다.

이 밖에 경기도 평택시, 강원도 삼척시 등 중부권과 경상남도 통영시 등에는 기존의 LNG 인수기지와 연계해 해외 그린수소 인수기지를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수소 액화·액상기술, 수소운반선박, 액화 플랜트 등 관련 인프라를 통해 지역 곳곳에 있는 충전소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오는 2022년 연간 약 3만톤의 수소가 필요할 것으로 봤다. 수도권 1만톤, 영남권 1만톤, 중부권 0.6만톤 등이다. 지역별로 특화시킨 수소 생산을 통해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정부는 가격 안정화 방안도 내놨다. 휘발유나 경유보다 비싼 수소 가격을 현실화시켜는 데 집중한다.

2021년까지 한국가스공사 등 기관 내에 '수소유통센터'를 설치해 적정 수준의 수소 가격을 관리한다. 장기적으로는 대용량 튜브트레일러 제작과 파이프라인 건설, 액화 운송 확대 등을 통해 시장 중심의 수소 가격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수소 공급 가격을 오는 2022년까지 kg당 6000원으로 낮추고, 이후 2030년 4000원, 2040년 3000원까지 낮추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다만 당분간은 충전소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존 정책가격인 8000~9000원을 유지한다.

이같이 수소 공급을 확충해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하고,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했다. 아울러 지방자치단체와 민간 사업자, 수소차 이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불확실성도 일부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kwater@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