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남산의 부장들’ 이병헌은 중앙정보부장을 어떻게 연기했을까
엔터테인먼트| 2020-01-17 14:40

[헤럴드경제 = 서병기 선임기자]오는 22일 개봉하는 영화 ‘남산의 부장들’은 1979년 10월 26일 일어난, 대한민국 현대사를 관통하는 대통령 암살사건을 다룬다. 영화는 사건 40일전부터 당일까지, 청와대의 대통령과 비서실장, 중앙정보부 부장, 보안사의 사령관 등의 상호 권력관계와 심리를 면밀히 따라간다.

우민호 감독은 원작자인 김충식 기자가 쓴 동명의 논픽션 연재기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조금 달라졌다면, 사건보다는 인물에 더 큰 방점이 찍혀있다. 우 감독은 “정치적인 성격과 색깔을 띠지 않는다. 인물의 공과 과를 평가하지 않았다. 인물의 내면을 따라갔다. 판단은 관객이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영화는 10.26사건후 전두환이 수사책임자가 되면서 끝난다. 이에 대해 우 감독은 “10.26 이후 정상적으로 정권을 잡지 않았다는 상징 정도로 봐달라”고 했다.

이 정도만으로도 감독이 얼마나 조심스럽게 영화를 만들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 10.26사건때 대학생이었던 기자는 영화에 나온 팩트들을 모두 동시대 상황으로 접했다. 그런 기자에게 영화에 나온 내용중 새롭다 할만한 건 없었다. 그래서 객관적인 상황만을 전개하는 데서 한단계 더 나아가 뭔가 묵직한 한방을 기대한 기자로서는 조금 심심한 면이 없지 않았다. 그런데도 영화는 흥미롭다. 113분이 지루하지 않았다.

영화에서 중앙정보부장인 김규평을 연기한 이병헌은 “정치정인 견해가 담겨있고, 누군가를 피력해야 한다면 고사했을 것이다”면서 “오로지 이야기의 힘을 믿고, 캐릭터의 디테일한 심리를 묘사하고 싶어 참가를 결정했다. 인물을 통해 사건 가까이에 들어가보는 게 매력이 있다”고 말했다.

이미 역사를 통해 드러났듯이, 부산과 마산 등지에서 시민들이 독재정권 타도 데모를 하자, 박통(이성민)에 대한 2인자 충성경쟁을 하는 권력 주변 부류들의 해결책은 나뉜다. 온건책을 펴는 김규평 중앙정보부장은 강경진압책을 주장하는 경호실장(곽상천)에게 조금씩 밀리게 된다.

“곽 실장이 (박통이) 듣고싶은 말만 하는 캐릭터였다면, 내가 맡은 김 부장은 감정을 계속 누르는 스타일이다. 주변사람들은 왜 박통이 싫어하는 말만 하냐고 하지만, (박통에 대한) 존경과 충성을 베이스에 깔고 있다. 박통, 김부장, 곽실장, 이 세 사람이 아주 특수한 관계지만 일반 직장에서 벌어지는 관계에 대입할 수도 있다. 그 점에서 그런 충성경쟁이 생경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많은 이에게 공감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이병헌은 작가가 창조한 캐릭터임에도 자신이 마음껏 표현해내는 재미를 느끼고 있었지만 이번 작품은 실존인물이라 개인생각과 애드립, 감정선을 자유롭게 넘나들지 못하고 타협하고 제한받는 연기였다고 했다. 이병헌은 그동안 사극, 조폭물 등 다양한 장르물, 심지어 ‘백두산’에서는 북한 사람을 연기해도 어색하지 않았다. 중앙정보부장도 훌륭하게 연기한다. 클로즈업이 부담스러울텐네도, 미세한 감정을 전달해낸다. 그 이유를 묻자 “오래 (연기)했기 때문이 아닐까요”라고 겸손을 보였다.

“인물의 감정에 초점이 맞춰진 영화인데, 김 부장은 다른 캐릭터보다 말이 적고 자제한다. 클로즈업을 많이 하면 관객이 거북할 수 있는데, 누르고 있는 감정의 크기를 극단적으로 클로즈업 했을 때, 극장속 큰 스크린에서 마법이 일어나길 바라는 마음으로 찍는다. 배우는 뭔가 들켜줘야 하는 직업이다. 그래야 이야기가 진행되고 감정이 전달될 수 있다. 너무 주관적으로 연기하면 관객과 소통이 안된다. 관객이 감정이 이입돼 보게 하려면 조금씩 들켜야 한다. 그래야 따라갈 수 있다. 나는 관객이 내 감정을 알게 하는 연기를 한다.”

이병헌은 권력에서 하루 아침에 밀려나 미국에서 박통 정권의 실체를 세계에 고발하는 전 중앙정보부장 박용각(곽도원)의 회고록 집필을 말리기 위해 워싱턴으로 간다. 두 사람간의 연기는 절제돼 있지만, 흥미롭다.

“김 부장이 박 부장을 보면서 어떤 감정이 들었을까? 박 부장과 김 부장을 같은 선상에서 겹쳐보이게 하고싶었다. 박 부장의 처지를 보면서 김 부장이 균열, 고민, 갈등이 생기는 게 아닐까? 이번 연기에서 가장 당혹스러운 것은 곽도원이었다. 매번 다르게 연기를 변주해냈다. 상대를 번쩍 놀라게 하는 연기호흡이었다.”

이어 이병헌은 박통을 연기한 이성민이 분장실에서 나온 날 처음 보고 감짝 놀랐다고 했다. 너무 비슷했기 때문이다.

다수의 작품을 잘 소화하는 이병헌은 매번 똑같은 고민에 빠진다고 한다. 작품이 없으면 어떤 작품이 들어올까 하고 고민하고, 작품이 예정돼 있는 경우에는 그 캐릭터를 어디에 중점을 둬 표현할까 하는 고민이다. 배우의 숙명 같았다.

wp@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