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불가피한 선택 온라인 개학, 이참에 시스템 완성하라
뉴스종합| 2020-03-31 11:32

정부가 4월 9일부터 초·중·고교의 순차적인 온라인 개학을 결정했다. 당연한 조치다. 지금 코로나19 사태는 전혀 진정될 기미도 없다. 아직도 매일 적지않은 신규 확진자가 나온다. 게다가 미성년자 확진자도 600명을 넘었다. 이런 상태에서 학생들의 등교는 또 다른 집단감염의 빌미가 될 수 있다. 아이들 안전이 우선이다. 학부모들도, 감염 전문가들도 같은 의견이다.

그렇다고 연간 수업 일수와 입시 일정도 있는데 무작정 개학을 연기할 수도 없다. 방역 안전성과 학습권을 동시에 충족할 대안은 결국 온라인 개학이다. 불가피한 선택인 셈이다.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어차피 해야 할 일이라면 공격적인 게 낫다. 안 그래도 디지털 교육은 세계적 추세고 미래의 과제다. 이참에 제대로 된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코로나19의 고비를 넘긴 후 유야무야되지 않을 기초를 다지라는 얘기다. 그래야 어쩔 수 없는 현장의 혼란이 미래의 개선방향으로 수렴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보편적 환경이다. 휴대폰은 필수품이 된 지 오래지만 불가피한 사각지대는 언제 어디나 존재한다. 디지털 기기가 없는 학생은 교육부가 확인한 것만 13만명이 넘는다. 의무교육인 이상 최소한 모든 아이에게 단말기와 인터넷 접속이 보장돼야 한다. 디지털 환경 격차가 학생 간 지식 격차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

와이파이나 웹캠 등 온라인 수업 환경을 위한 기본 장비는 보편적인 시설로 지원돼야 할 것이다. 여기엔 통신사나 장비제조업체들의 노하우 공유는 물론 협조도 절실하다. 이들은 벌써 한 달 전부터 대학의 온라인 강의 지원활동을 펼쳐왔다. 민간기업에 대한 현실을 무시한 강압적 조치는 득보다 실이 많다는 게 이미 마스크 대란 당시 증명됐다.

그런 전제하에 일선 교육현장의 준비 상태를 최선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준비할 시간이 충분치 않은 것도 사실이다. 교육부가 원격수업 기준안을 발표한 게 3월 27일이다. 단위 교육청들은 이제 시범학교를 지정해 운영을 시작했다.

그럼에도 온라인 수업 역시 엄연한 학업의 연장이다. 현장수업의 보완이 아니다. 대체로 봐야 한다. 급하게 실시한다는 게 수업 질 저하의 변명이 될 수는 없다. 교사들의 철저한 준비와 노력도 병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코로나19 대응엔 단연 의료인들이 영웅이다. 이번엔 그 역할이 교사들에게 주어졌다. 기대해도 좋을 듯하다. 이미 교사들의 SNS 커뮤니티에선 온라인 교육 노하우 공유가 한창이다. 개인 휴대폰의 데이터 이용을 무제한으로 올려 학교 와이파이 문제를 일단 해결하고 본다는 얘기도 들린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