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중앙임상위의 코로나 병상관리 효율화 지적 경청할 만
뉴스종합| 2020-06-22 11:27

코로나19 환자들의 입퇴원 기준을 바꿔 병상관리를 효율화해야 한다는 신종 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의 지적은 충분히 납득가는 일이다. 코로나19의 장기화 국면에 재확산 우려까지 높아지는 상황에서 지금의 기준으로는 경증환자들이 병상을 차지해 정작 입원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의 병상이 부족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1일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된 중앙임상위의 주장은 의료기관 55곳에서 증상 발현부터 퇴원까지 4주간 임상 경과를 확인한 1309명에 대한 분석을 근거로 한다는 점에서 높은 신뢰성을 보인다. 분석의 모집단이 크다고는 할 수 없지만 급한대로 현실적인 기준을 정하기엔 충분하다. 이를 근거로 중앙임상위는 고위험군 우선 입원을 원칙으로 하고, 상태 악화 가능성이 낮은 환자는 조기 퇴원시키면서 중증 환자 치료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금도 증상이 호전되면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퇴원시킬 수 있지만 한 번 입원한 환자를 음성 판정이 나기 전에 퇴원시키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기준을 아예 바꿔 50세 미만 성인 중 증상 발생 후 7일 이내 호흡곤란이 없고 기저질환이 없으며 의식이 또렷하면 중증 악화 가능성이 낮으니 퇴원시켜 자가격리나 생활치료시설에서 치료토록 하자는 것이다. 실제로 국내 확진자의 80~90%는 특별한 치료 없이도 휴식만 취하면 낫는다. 50세 미만의 경증 환자가 산소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중증으로 악화된 경우는 0.2%에 불과했다.

이들을 내보낸 자리에 고도비만(체질량지수BMI 30 이상)이거나 당뇨·만성신질환·치매 등 기저질환자, 65세 이상 고령자 등 병세가 악화할 확률이 10% 이상인 고위험군 환자들을 우선 입원시키자는 얘기다. 이 같은 입원 기준 개선만으로 최대 60% 가까이 중환자용 병상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는 게 중앙임상위의 분석이다. 그러면 추가병상의 수백%에 달하는 지역사회 감염자 치료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중앙임상위가 이처럼 제도 개선을 주장하는 것은 지금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채 코로나19 재확산을 맞게 되면 의료시스템이 위협받고 심지어 붕괴되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의료 선진국이면서도 치명률이 높았던 유럽과 같은 전철을 밟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안 그래도 지금 수도권은 환자 확산으로 중환자 병상이 포화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현재 수도권의 사용 가능한 중환자 치료 병상은 서울 24개, 인천 10개, 경기도 4개로 빠듯한 상황이다.

정부도 귀담아 듣고 긍정적인 조치에 임하길 기대한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