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메뉴 고급화·차별화 한계…한식뷔페 시장 ‘칼바람’
뉴스종합| 2020-12-02 11:34

한식뷔페가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주요 외식 기업이 하반기를 기점으로 매장 수를 대폭 줄이고 있어서다. 해산물·월드와이드 뷔페와 달리 고급화 전략이 쉽지 않은 데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뷔페 업계가 침체를 겪자 주요 상권을 제외한 다수의 매장을 정리하기에 이르렀다.

▶하반기만 매장 20개 영업 종료…한식뷔페 ‘칼바람’=2일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에 따르면 이랜드이츠가 운영하는 자연별곡은 올 하반기 20여개 이상의 매장에 대해 영업을 중단했다. 지난 7~12월까지 영업을 종료한 매장은 총 20개. 여기에 2개 매장이 연말에 추가로 영업을 마친다. 이로써 지난해 말 현재 41개였던 자연별곡 매장은 현재 15개로 쪼그라들었다. 지난 2019년 매장이 2개 줄어든 것에 비하면 빠른 속도로 정리가 되고있는 셈이다.

1년 만에 매장 수가 절반 이상 줄어든 배경에는 내부적으로 자연별곡의 시장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랜드이츠는 코로나19 여파로 매출이 감소해 지난 7월 비상경영을 선포한 바 있다. 당시 김완식 이랜드이츠 대표는 임직원들에게 메일을 보내 “고객의 선택을 받지 못하는 브랜드를 선별해 과감히 철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경쟁사 브랜드들의 상황도 비슷하다. 한때 ‘한식뷔페 톱4’로 불리던 브랜드들은 전국 매장 수가 10개 이하로 줄었다. 12월 기준 풀잎채 매장은 전국 7개로, 32개였던 2018년과 비교해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계절밥상은 전국에 6개, 올반은 2개의 매장만 가까스로 유지하고 있다.

▶고급화 전략 어려워, 코로나19 돌파구 못 찾아=이처럼 한식뷔페들이 고전하는 것은 코로나19의 영향도 있지만, 예전부터 지적됐던 ‘한식’ 자체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안그래도 경쟁력이 떨어진 한식 브랜드에 대해 구조조정이 필요했는데, 코로나19으로 그 속도가 빨라졌다는 설명이다. 일상에서 쉽게 접하는 한식의 특성상 다른 외식 브랜드와 달리 고급화·차별화 전략이 어려워 시장에서 도태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최근 고급화 전략에 성공한 패밀리 레스토랑은 외식업계 침체 속에 선방하고 있다. 이랜드이츠가 운영하는 애슐리퀸즈는 기존 애슐리 매장을 고급화하는 데 성공, 지난 10월 매장 60개를 돌파하기도 했다.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와 매드포갈릭 역시 메뉴 업그레이드와 같은 프리미엄 전략으로 실적을 개선하고 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한식에 대한 인식때문에 한식뷔페가 고급화 전략을 펴는 데는 한계가 있다. 고급 호텔 내 뷔페에서도 한식을 잘 다루지 않는 이유도 이 때문”이라 고 말했다. 김빛나 기자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