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5년 내 환승 인프라 2배 확충…3분내 환승 환승거리 절반 단축 추진
부동산| 2021-08-26 09:21

[헤럴드경제=박일한 기자] 2025년까지 환승 기반시설(인프라)이 2배 이상 확충돼 ‘3분 이내 환승’이 늘어 나고, 주요 역사의 환승거리도 절반가량 줄어든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앞으로 5년간 전국 주요 교통거점에 빠르고 편리한 환승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제3차 환승센터 및 복합환승센터 구축 기본계획’을 최종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계획은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에 따라 수립하는 것으로 철도·버스·항공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필수적인 환승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본 계획이 담겨 있다.

먼저 철도 등 주요 교통시설은 초기 계획 단계에서부터 연계 환승 체계가 검토되도록 내년부터 ‘환승체계 사전검토제도(가칭)’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에따라 교통시설의 환승 편의성이 높아지고, 대중교통 이용도 활성화될 것으로 정부는 예상한다.

현재 9개 사업에 대해 시범 운영 중인 ‘총괄계획단 제도’를 2022년부터 더 활성화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양재역, 수원역, 용인역, 덕정역, 인천시청역, 부평역, 송도역, 망우역, 킨텍스역 등에서 시범 운영하고 있는 총괄계획단 제도는 교통·도시·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민간전문가가 참여해 환승센터를 지역 랜드마크로 구축하는 사업이다.

이에따라 우리나라에도 미국의 세일즈포스 트랜짓센터(Salesforce Transit Center), 스위스의 아라우역(Aarau Bus Station)과 같이 도시 내·외부를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하면서,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품격높은 환승센터를 건설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환승시설을 관리·감독하는 관련 기관(지자체·공기업·민간사업자 등)과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환승 거버넌스 협의체’도 올해 연말까지 제도화하기로 했다.

친환경차나 개인형 이동 수단이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해 수소·전기충전소와 ‘공유 모빌리티’를 환승시설에 연계한 표준모델도 내년까지 개발하기로 했다. 이는 2023년부터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자율차와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교통수단 발전에 대응한 맞춤형 환승 모델도 개발한다. 2025년까지 미래 교통수단에 필요한 승·하차와 착륙 시설, 시설 배치기준 등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는 광역급행철도(GTX) 개통에 맞춰 선제적으로 주요 GTX 역사 20곳에 환승센터를 구축하고, 대규모 환승 수요가 발생하는 KTX 역사 7곳과 거점지역 20곳에 환승센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특히 철도역을 중심으로 버스정류장 지하배치, 무빙워크 및 고속 엘리베이터 설치 등을 통해 철도·버스 간 환승동선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공유 모빌리티, 택시, 승용차 등과의 연계도 강화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환승서비스 수준(LOS)을 C등급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도 세웠다. 이는 환산거리 180m, 환승시간 3분 미만을 의미한다.

백승근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위원장은 “편리한 환승 체계를 구현해 쾌적한 출퇴근 여건을 만들고, 교통 약자의 이동 편의를 향상시키는 등 국민들의 환승 불편을 최소화하는데 역점을 두고 환승 인프라 구축과 세부 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jumpcut@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