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속 미세플라스틱도 잡아내는 ‘光전기집게’ 나왔다
2021-03-30 12:01


이중 금속 전극 구조를 이용한 초고감도 광-전기 융합 집게.[KIST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물속의 미세 플라스틱과 같은 나노미터 크기의 미세물질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분석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는 기계적 집게가 아닌 전기적 집게인 동시에 특정 파장의 빛을 이용한 광(光)센서로 수중 미세 물질이나 혈액이나 체액 같은 액체시료 속 바이오마커 등을 검출하는 데 새로운 활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서민아‧유용상 박사 연구팀이 나노입자 포집과 테라헤르츠파(THz) 증폭 기술을 결합한 신개념 광-전기 집게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테라헤르츠파(1초에 1조번 진동하는 전자기파)는 파장이 매우 길고 광-에너지는 낮아 인체에 무해하며, 비파괴검사 등에 이용된다.

하지만 물에 대부분 흡수되는 테라헤르츠파의 성질과 미량의 물질에 낮은 감도를 가진 특성 때문에 수중 미세물질을 포착하고 분석하는 연구에는 전혀 활용되지 못했다.

연구팀은 수중에서의 신호손실을 막는 한편 신호증폭을 통해 감도를 수십~수백배 높일 방법을 제안했다.

핵심은 극미량의 나노입자를 포집하는 전기집게 기술과 메타 표면으로 인해 증폭된 테라헤르츠파 변화를 이용한 고민감도 광센서를 하나로 통합한 것이다.

미세입자의 존재와 응집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굴절률 등에 따라 테라헤르츠파의 투과율이나 공명주파수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 과정에서 물에 의한 테라헤르츠파의 흡수를 회피하고자 물을 통과하지 않는 반사형 센서 시스템을 갖췄다. 또 나노미터 크기의 미세구조를 가지는 메타물질 센서로 입자를 능동적으로 포집하면서 동시에 모니터링하도록 했다.

미세입자의 굴절률에 의해 미세하게 변화된 테라헤르츠파의 신호를 극대화시켜 관찰함으로써 형광표지 등의 전처리 없이 극미량의 미세입자를 비접촉식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서민아 KIST 박사.[KIST 제공]

연구팀은 40㎕(마이크로리터) 정도에 존재하는 1p.p.m.(100만분의 1) 정도의 극미량 미세입자를 검출할 수 있는 감도를 확보했다.

이는 통상 혈액이나 타액 같은 액체상태 시료에 존재하는 p.p.b.(10억분의 1) 수준의 극미량 바이오마커 추적과 분석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민아 박사는 “이 기술의 소형화 및 분석의 고속화를 통해 미세먼지, 미세 플라스틱 모니터링은 물론 실제 의료현장에서 특정 질병에 관여하는 미량의 생체분자를 실시간 검출 분석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3월 24일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랭킹뉴스


COPYRIGHT ⓒ HERALD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