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백신 허브? 실제론 생산기지 수준…필수백신 28종 국내자급 57% 그쳐
2021-05-25 10:23

[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 미국 순방을 계기로 ‘글로벌 백신허브’ 도약을 선언했지만 실제로는 원천기술을 확보하지 못하고 위탁생산기지 수준에 그쳐 앞으로 가야할 길이 먼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필수백신 28종의 국내 자급화 57%가 불과한 가운데 백신 연구개발 인력마저 크게 부족한 상황이라 도전이 만만치않다는 지적이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왼쪽)과 하비에르 베세라 미국 보건부 장관이 양자 회담을 가진후 팔꿈치 악수를 나누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제공]

2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의 뛰어난 백신 개발기술과 원부자재 공급 능력 및 한국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역량 등 상호 강점을 결합해 코로나19 백신의 글로벌 백신 생산 및 공급을 가속화하는 내용의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구축했다.

정부는 이를 계기로 글로벌 백신허브 구축을 추진키로 했지만 폐렴구균 등 필수백신 28종의 자급화율이 57%에 불과하고, 전문인력 등 백신개발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에서 위탁생산에만 그칠 경우 공염불에 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이번에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 간 위탁생산 계약은 원액 생산이 아니라 원액을 받아서 병에 넣기만 하는 완제 생산이다. 스페인 제약사 로비(Rovi)가 기술이전을 받아 최근 원액생산 공정을 설치 중인 것에 비하면 생산기지에 불과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010년부터 ‘글로벌 백신 제품화 지원단’을 구성해 백신국산화 사업을 추진했지만 폐렴구균, 자궁경부암 백신 등 필수백신 절반 가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 백신 업체들이 제품 개발 단계부터 필요로 하는 임상시험, 허가·심사, 의약품 제조·품질관리(GMP) 등 의약품 개발 및 허가 전 과정에 걸쳐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지만 성과가 더디다.

2018년에는 국내 개발중인 백신에 대한 체계적인 컨설팅을 통해 필수백신의 자급률을 2017년 50%에서 2020년 70%, 2022년 80%까지 상향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4년 동안 자급율은 단 7% 높이는데 그쳤다. 내년에 28종의 백신 중 22종이 국내에서 생산가능해야 하지만,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 인력 부족도 해결해야할 과제다. 업계에 따르면 석사급 이상을 요구하는 연구 파트뿐 아니라 글로벌 임상, 공정개발 및 생산(CMC) 등 백신과 신약개발 모든 분야에서 인력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백신 허브 도약도 중요하지만 코로나로 백신주권 확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정부 차원에서 필수 백신의 자급화를 향상하기 위해 사업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dewkim@heraldcorp.com





랭킹뉴스


COPYRIGHT ⓒ HERALD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