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금리 인상 가능성…“수요 회복 동반은 부담 아냐”
2021-06-13 11:54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경기 회복 기대감과 함께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증권업계도 올해 내 금리 인상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1일 창립 71주년 기념사에서 “코로나19 전개상황, 경기회복의 강도와 지속성, 그리고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조정 시기와 속도를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의 발언이 나오자 증권업계는 발언에 대한 해석 보고서를 쏟아냈다.

삼성증권은 “한국 기준금리 전망을 2023년 상반기 인상에서 올해 10∼11월 중 25bp(1bp=0.01%) 인상으로 변경한다”며 “최근 통화정책 당국의 메시지가 ‘금융불균형 완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감안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이어 기준금리가 인상된 2017∼2018년에도 ‘완화 정도의 조정’ 표현이 포함됐던 점에 비춰보면 이번 기념사에서의 표현은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보다 분명한 신호를 전달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결과라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김지만 연구원은 올해 10월과 11월 중 금리가 25bp 인상되면 이후 추가 인상 시점은 “빨라야 2022년 말 정도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신증권은 “이 총재의 발언이 코로나19 이후 기준금리 인하 및 적극적인 통화완화 행보에 대한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평가한다”며 “당초 내년 이후로 예상했던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올해 11월로 변경하고 폭은 0.25%포인트로 예상하며 추후 인상은 내년 하반기로 본다”고 밝혔다.

KB증권도 “올해 4분기, 늦어도 내년 1분기에는 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보고 “3분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인상 소수 의견이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올해 인상이 이뤄지기는 쉽지 않다는 관측도 나온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2017년 11월과 2018년 11월 두 차례 금리 인상 결정의 주요 변수가 ‘금융불균형’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2017년과 비슷한 그림이 나타나며 올해 말 금리 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에는 동의한다”면서도 “민간 부문의 경기 회복이 미진하고 코로나 백신 보급률이 가팔라지고는 있지만, 그와 관련한 불확실성 또한 여전히 높기 때문에 여전히 금리 인상 시점은 올해보다는 내년 상반기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인플레이션에 따른 금리인상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할 것은 아니라는 진단이다.

김천희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3분기 인플레이션 압력이 당사 추정 수준 혹은 이에 못 미칠 경우 금융시장은 용인 가능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으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으며 과도한 정책 정상화 또한 제한되겠다”면서 “반면 공급망 차질 및 병목현상 장기화로 기준선을 웃도는 물가 상승 압력이 목도될 경우 금융시장이 다소 불편한 반응을 보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천희 연구원은 면서 “중기적으로 수요-공급의 원리에 의해 공급 측 노이즈는 해결되기 마련이다. 코로나19 기점으로 공공과 민간 부문 공히 제조업 수요 우위를 이끌며 제조업 주도 하에 저물가 탈피가 기대된다”며 “실물 기대수익률이 회복되면서 기존에 자산 투자에 집중됐던 유동성은 실물 투자로 유입되겠다. 수요 회복에 근거한 건전한 물가 상승은 금융시장에 부담 요인이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thlee@heraldcorp.com





랭킹뉴스


COPYRIGHT ⓒ HERALD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