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6일 국방과학원이 전날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현장에 참관하지 않았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은 전날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탄도미사일에 대해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였다고 확인했다.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는 작년 9월 28일 자강도 룡림군 도양리에서 ‘화성-8형’을 발사한 이후 꼭 100일만이다.
조선중앙통신은 6일 “국방과학원은 5일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며 “미사일은 발사 후 분리돼 극초음속 활공비행전투부의 비행구간에서 초기발사방위각으로부터 목표방위각으로 120㎞ 측면기동해 700㎞에 설정된 표적을 오차 없이 명중했다”고 주장했다.
고도 30㎞ 수준에 500㎞가량 비행한 것으로 알려진 작년 9월에 비해 비행거리가 늘어난 것이다. 앞서 일본 방위성이 통상적인 탄도미사일 궤도일 경우 500㎞ 비행한 것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이번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은 500㎞를 비행한 뒤 일본의 레이더 탐지 고도 이하로 200㎞ 가량을 더 날아갔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특히 통신이 “국방과학원은 시험발사에서 미사일의 능동구간 비행조종성과 안정성을 재확증하고 분리된 극초음속 활공비행전투부에 새로 도입된 측면기동기술의 수행능력을 평가했다”며 “다계단 활공도약비행과 강한 측면기동을 결합한 극초음속 활공비행전투부의 조종성과 안정성이 뚜렷이 과시됐다”고 밝힌 대목이 주목된다. 다계단 활공도약비행은 여러 차례의 상하기동, 측면기동은 좌우기동을 했다는 의미로 변칙기동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불과 100일 만에 현존 미사일방어체계(MD)로는 요격이 어려워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 기술이 급진전했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아울러 통신은 “겨울철 기후조건에서 연료 암풀화 계통들에 대한 믿음성도 검증했다”고 전했다. 작년 9월과 마찬가지로 액체연료를 용기에 담아 앰풀(ampoule)화된 미사일 연료 계통과 엔진을 사용했다는 것으로 액체연료를 밀봉해 장기보관할 수 있는 기술을 재검증했다는 얘기다. 작년 9월에는 통상 마하5 이상이 요구되는 극초음속미사일 성능에 미치지 못하는 마하3 정도로 비행한 것으로 알려졌던 것과 달리 속도에서 개선이 이뤄졌을 가능성도 있다. 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통칭하는 ‘당중앙’이 이번 시험발사 결과에 큰 만족을 표시하며 국방과학연구부문에 축하를 보냈다고 전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이번 시험발사를 참관하진 않았다.
특히 북한 관영매체의 사진을 보면 이번 극초음속미사일 탄두부는 작년 10월 국방발전전람회 때 공개된 신형 기동식 재진입체(MARV)와 동일한데, 작년 9월 글라이더 형태의 탄두부보다 날렵해진 원뿔형이었다. 이 때문에 북한이 2가지 형태의 극초음속미사일을 동시 개발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전문연구위원은 “북한은 극초음속 활공을 위해 2가지 형상으로 극초음속미사일을 개발중”이라며 “비행능력이 우수한 글라이더 형상이 극초음속의 속도를 내지 못해 원뿔형상의 극초음속미사일 2형으로 마하5의 극초음속을 시험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shind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