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정치권, 盧비극 겪고도 분열·갈등…부동산은 무거운 짐”
2022-02-10 10:56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아시아·태평양지역 뉴스통신사 교류협력체 '아태뉴스통신사기구'(OANA)의 의장사인 연합뉴스 및 세계 7대 통신사와 서면인터뷰를 한 후 사진 촬영에 임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문재인 대통령은 10일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재임 중 탄핵 후폭풍과 퇴임 후의 비극적인 일을 겪고서도 우리 정치문화는 근본적으로 달라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대선을 코앞에 두고 선거문제에 거리두기를 해왔지만, 이례적으로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직접 거론했다는 점에서 이번 메시지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등 정치권을 향한 ‘작심 발언’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임기 종료를 3개월 앞두고 세계 7대 통신사와 합동으로 진행한 서면 인터뷰에서 ‘취임사에서 강조한 국민통합이 재임 기간 얼마나 실현됐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을 받고 “우리나라가 통합의 정치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공감한다”며 이같이 답했다. 다만 문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윤 후보가 언론 인터뷰에서 ‘적폐청산 수사’ 관련 발언을 하기 이전에 나온 것이다.

문 대통령은 대선 국면과 맞물려 여야 간 공방이 거칠어지며 진영 대립이 극한으로 치닫는 양상을 염둔 듯 “지금 선거국면에서도 극단적으로 증오하고 대립하며 분열하는 양상이 크게 우려된다”며 “아무리 선거 시기라 하더라도 정치권에서 분열과 갈등을 부추겨서는 통합의 정치로 갈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극단주의와 포퓰리즘, 가짜뉴스 등이 진영 간의 적대를 증폭시키고 심지어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적대와 증오를 키우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같은 진영 내에서도 특정 후보를 지지하느냐를 두고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때문에 친노·친문 진영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지지하지 못하는 상황 등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

문 대통령은 “(이런 상황은) 누구에게도 이롭지 않고 사회 전체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대통령을 포함한 정치권이 앞장서서 갈등을 치유하며 국민을 통합시켜 나가야 할 의무가 있다”며 “야권의 유력 인사들에게 당적을 유지한 채 내각에 참여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개인적으로는 취지에 공감을 표하면서도 끝내 모두 고사했다. 진영으로 나뉘는 정치문화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이 퇴임 후에는 현실 정치와 확실하게 거리를 두겠다는 뜻도 확고히 했다. 이어 “퇴임 후 정치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며 “전직 대통령으로서 사회적인 활동도 구상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2020년 1월 신년 기자회견에서 “저는 대통령 이후를 생각하지 않고, 그냥 대통령으로 끝나고 싶다”며 “잊혀진 사람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솔직히 퇴임 후를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며 “퇴임 후 거주할 양산 사저 공사가 거의 다 되어가는데도 뉴스에 보도된 사진으로만 봤지, 한 번도 현장에 가보지 못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임기 중 가장 아쉬운 대목을 묻는 말에 “정책에 있어 부동산 가격을 안정시키지 못한 점이 가장 아픈 일이 되었다”며“부동산 문제가 임기 내내 가장 무거운 짐이었다”고 말했다. 과거에도 부동산 문제에 대해 여러차례 사과하긴 했지만, 가격과 공급 부족 문제에 대해 다시 한번 고개를 숙인 셈이다. 부동산 문제의 원인을 두고는 “저금리 기조가 장기간 유지돼 유동성이 크게 확대되며 돈이 부동산으로 급격히 몰렸다”면서 “이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었다”고 했다.

‘5월 들어설 새 정부가 계승해줬으면 하는 정책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엔 “국가의 미래를 좌우할 국가적 전략과제는 어떤 정부가 들어서더라도 이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임기 5년에 대해선 ‘위기 극복의 모범국가, 위기를 기회로 만든 선도국가’라고 자평한 뒤 차기 정부에서도 도약을 계속 모색해야 한 것이다.



mkkang@heraldcorp.com



랭킹뉴스


COPYRIGHT ⓒ HERALD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