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자율주행 지원 부족…데이터 축적 뒤처져”
2022-03-15 09:59


LG유플러스는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운행하는 자율주행 실증차량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는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를 완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사진은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내부에서 관계자들이 자율주행차량이 보내온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는 모습. [LG유플러스 제공]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 미국, 중국 등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선도국들이 국가 지원에 힘입어 자율주행 상용화에 근접한 반면, 국내 업체들은 이들에 비해 뒤처졌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자율주행차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의 재정·정책적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임원택 에이스랩 대표는 15일 자동차산업연합회가 주최한 '제24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포럼은 ‘자율주행차 산업현황과 발전과제’를 주제로 열렸다.

임 대표는 “자율주행 기술은 미국의 웨이모, 크루즈, 테슬라, 유럽의 독일3사, 중국의 바이두 등 민간 업체 주도로 기술개발 경쟁이 진행되고 있다”며 “주요 업체의 기술 주도는 주요국의 충분한 정책적 지원에 기반한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미국은 2010년부터 막대한 자금과 인력을 투자하고 있고, 중국은 후발주자임에도 정부의 막대한 지원으로 업체들이 빠르게 자율주행 상용화 단계에 접근하고 있다.

그는 “국내는 2027년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 목표로 장기적 관점에서 대응하고 있지만, 주요국과 비교하면 투자금과 전문인력이 선도국 대비 절대적 열세에 있다”고 지적하면서 “해외 주요 업체와 유사한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정부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 KPMG의 자율주행 도입준비 지수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는 7위에 불과했다.

임 대표는 “민간 중심의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를 위한 투자 활성화 및 신규창업 촉진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신기술을 시험하기 위한 대규모 테스트베드(testbed) 구축, 산학연 연계를 통한 신규인력 양성과 AI 등 관련 분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방지, 국내유입을 위한 국가적 지원이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지목했다.

2019년 국가별 AI(인공지능) 기술인력 유·출입 현황을 보면 독일의 경우 547.43명, 일본은 454.77명, 영국은 233.22명, 미국은 186.19명이 유입됐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반대로 35.04명이 유출됐다.

조창성 자동차산업협회 스마트안전실 실장도 주제 발표에서 “우리 자율주행 산업은 미국, 중국 등 기술 선도국과 비교하면 기술 수준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KAIA에 따르면 2030년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는 6565억 달러(약 814조원)로, 2020년 대비 93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 국내 자율주행 시범 서비스 지역은 7개소의 일부 구간에 한정돼 있다. 또 미국과 중국 등은 1000대 이상의 자율주행차가 시범서비스에 참여하고 있지만, 한국은 30여 대에 불과하다.

미국과 중국의 경우 시범서비스 주행거리 합계는 2100만~3200만㎞에 달한다. 반면 국내는 시범서비스 차량의 수가 적어 주행거리 합계가 단 72만㎞에 그친다. 조 실장은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 축적이 뒤처지는 이유”라고 지적했다.

조 실장은 자율주행 데이터 축적을 위해 ▷택시형 자율주행 서비스 허용 ▷기업 수요에 맞춘 시범운행지구 탄력적 지정·운영 ▷레벨4 자율주행차 제작·출시에 맞춘 적합한 안전기준 정립 등 관련 규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why37@heraldcorp.com



랭킹뉴스


COPYRIGHT ⓒ HERALD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