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양자암호통신 구축전략 제시
2022-11-03 13:35


KISTI 양자암호통신망 구성도.[KISTI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양자암호통신 기술 및 구축 동향을 파악하고 분석, 안전한 통신을 위한 국가과학데이터 양자암호 인프라 전환 방안과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양자암호통신 구축전략 제언을 담은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디지털을 넘어 퀀텀의 시대로”라는 비전으로 ‘양자기술 육성 방향 및 추진계획’을 제시하며 2030년 양자기술 4대 강국 진입을 위한 단계별 목표를 수립했다.

양자컴퓨터와 같은 새로운 컴퓨팅자원 및 알고리즘 등의 기술이 등장하면서 보안 취약성이 더 높아져 국가별 양자컴퓨터 및 양자암호기술에 투자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 상황에서 양자키분배(Quantum Key Distribution, QKD) 기술을 이용한 안전한 양자암호통신을 구축·서비스하기 위한 노력이 추진되고 있다.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RSA 암호체계는 복잡한 계산을 요구하는 소인수분해 등의 방법을 기반으로 하며 소인수분해 문제는 1996년 Peter Shor에 의해 양자우월성이 증명됐다.

양자키분배 기술은 데이터암호화에 활용되는 양자키를 사용자 간 분배하고 관리하는 기술로, 도청이 불가하다는 양자의 특성을 통해 일회성패드를 현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로 여겨진다.

양자암호통신은 복제 불가성과 같은 양자의 내재적 특성을 활용한 통신의 물리적 보안기술이며, 도래할 포스트 퀀텀 시대에서 무조건적인 보안을 달성할 수 있는 기술로 기대되고 있다.

KISTI는 국가 연구데이터를 물리적 기반의 양자암호기술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전송·공유할 수 있는 차세대 국가연구망을 구축하기 위한 양자암호통신 주요 기술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국가대형연구시설장비 등 주요 국가시설물에서 생성된 국가과학데이터의 안전 보안·통신을 위해 양자암호 인프라 도입 방안을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다.


국가과학데이터 양자암호 인프라 전환 방안.[KISTI 제공]

국가과학데이터 관리 시에는 높은 보안이 필수이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안전성을 제공하는 QKD 중심의 양자암호 보안 체계로의 전환이 장려된다.

주요 국가시설물 물리보안경계와 KREONET 양자암호통신망 액세스 구간에 PQC 기술 적용 시 양자암호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KISTI는 양자암호통신 서비스 본격화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양자암호통신망 서비스 제공 및 운영·관리 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연구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공유할 수 있는 차세대 국가연구망 인프라·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김재수 KISTI 원장은 “KISTI는 국가과학데이터를 장기간 보호하기 위한 양자암호 인프라·서비스 구축을 추진하고 출연연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포스트 퀀텀 시대에 주요한 국가 데이터를 선제적으로 보호하겠다”고 밝혔다.



nbgkoo@heraldcorp.com



랭킹뉴스


COPYRIGHT ⓒ HERALD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