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전원 2년으로는 교사 양성 못해…5∼6년제가 연착륙 모델”
2023-01-18 18:18


이주호 교육부 장관이 18일 부산 해운대구 누리마루 APEC하우스에서 열린 교육부장관·시도교육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희량 기자] 정부가 도입을 추진하는 교육전문대학원에 대해 교육계에서는 일반대 학부 졸업 후 진학하는 2년제 형태보다는 교육 관련 학부를 졸업한 후 석사 과정을 밟는 학·석사 연계 5~6년제 형태가 적합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18일 이혁규 청주교대 총장은 온라인으로 열린 전국교원양성대학교 교수총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미래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학·석사 연계 교원 양성 방안’을 공개했다.

교육부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맞아 교원의 역량 가화를 위해 교육전문대학원을 내년부터 도입하기로 하고 올해 2개교를 시범 선정할 예정이다. 다만 교육전문대학원의 구체적인 형태는 정해지지 않았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이 18일 부산 해운대구 누리마루 APEC하우스에서 열린 교육부장관·시도교육감 간담회에서 교육감들과 인사하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교육계에선 교육전문대학원 모델로 ▷일반대 학부 졸업 후 진학해 2년가량 석사과정을 밟는 형태와 ▷교육 관련 학과 진학 학생들이 석사 과정까지 밟는 학·석사 연계 5~6년제 형태 등 크게 2가지가 언급되고 있다.

예비 교사들의 실습 기간을 6개월~1년으로 연장하는 데는 교육계가 공감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총장은 “학·석사 연계 5~6년제가 (2년제 교전원보다) 훨씬 연착륙하는 모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일반 학부 졸업 후 진학하는 교육전문대학원은 초등교사를 양성할 수 없다”며 “전 과목을 담당하는 초등 담임의 특성상 교직 과목 이수, 교과 교육 이수 등 총 81학점을 듣고 교육실습까지 하려면 2년제 교육전문대학원으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교육계에서는 5~6년제 과정이 도입될 경우 1~2년 간 교사 공급 인원이 관리될 수 있다고 본다. 이날 학·석사 연계 5년제 형태에 대해 이 총장은 “교육 실습 기간을 연장하고 대학원 강좌와 연계해 학생 지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청장은 도입 후 1년 동안은 졸업생이 배출되지 않아 교원 양성 정원 관리에도 효과가 있다고 덧붙였다.


12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3 교육계 신년교례회에서 정성국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왼쪽부터),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가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연합]

학·석사 연계 6년제와 관련해서는 “이론과 실무를 충분히 익힌 연구 능력을 지닌 교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2년간 졸업생이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학·석사 연계 5년제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교사 과잉 공급 문제도 훨씬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5년제는 석사 과정이 주로 2년인 한국에서는 생소하며 6년제는 예비교사들의 시간적·재정적 부담이 증가한다는 단점을 있다고 언급했다.

이 총장은 교육전문대학원 도입과 더불어 임용제도 개선과 교수진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학 공부를 중시하지 않고 인터넷 강의만 듣고 시험공부를 해서 교사가 배출되는 시스템을 고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해야 한다”며 “4년 학사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에 기반한 교직 수행평가 중심의 평가를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교육년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냈다. 교육년 제도는 교수를 일선 학교에 파견해 교육에 참여하거나 실습생 교육에 집중할 수 있는 제도이다. 그는 “대학 교수와 현장 교사 간 협력 시스템을 강화하고 실습 전담 교수 등을 도입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전국교원양성대학교 교수총회는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달 중순 교육전문대학원 운영 합의안을 마련한 뒤 교육부, 언론, 시민단체, 국회와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이날 총회에는 전국 12개 교대 총장들과 교수, 학생 등 700여명이 모였다.

한편 교육대학과 초등교육과 학생회 연합인 전국교육대학생연합(교대련)은 이날 발표 방안에 대해 “교원 수에 대한 중장기 계획, 공교육의 목표는 제시되지 않고 교원 공급 과잉만 해소하겠다는 것”이라며 “지금까지 교대 간, 교·사대 통폐합으로 해결하려던 부족한 대학 재정 문제를 재학 기간 연장 등으로 해결하려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hope@heraldcorp.com



랭킹뉴스


COPYRIGHT ⓒ HERALD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