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내수소비가 되살아나지 못하면서 '상저하고' 경기반등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소매판매액은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냈고,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 서비스업 생산 역시 1년 전보다 줄었기 때문이다.
과도한 가계부채라는 구조적인 한계와 더불어 고금리·고유가에 따른 대외 악재도 가계의 소비여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가계의 구매력 감소에 따른 소비 위축이 진행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따르면 대표적인 소비 지표인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는 지난 8월 기준 102.6을 기록했다. 지난해 8월 108.2와 비교하면 5.2% 하락한 수치다.
코로나19가 본격화했던 지난 2020년 3월(-7.1%) 이후 3년5개월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이다. 전월 대비로는 0.3% 줄었다. 7월(-3.3%)에 이은 2개월 연속 감소로, 역시 작년 4∼7월 이후 1년여만에 처음이다.
소매판매액 지수는 개인·소비용 상품을 판매하는 2700개 기업의 판매액을 조사한 결과다. 물가 요인을 제거한 경상 판매액 불변금액에서 계절·명절·조업일수 변수까지 제외한 수치다.
계절적 요인과 물가상승률이 모두 제거된 만큼 경제주체들의 실질적인 재화 소비 수준으로 볼 수 있다.
가장 감소폭이 큰 부문은 준내구재(의복·신발·가방 등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저가 상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7.6%나 감소했다. 의복의 판매액 감소폭이 가장 컸다.
비내구재 가운데서는 음식료품의 소비 감소가 두드러졌다. 8월 음식료품 소매판매액 지수는 95.1로 1년 전보다 8.3% 줄었다.
외식 소비까지 아우르는 음식점 포함 소매판매액 지수(불변지수) 역시 5.1% 감소했다. 2021년 1월 7.5% 감소한 이후 2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소비를 가늠할 수 있는 또 다른 지표인 '서비스업 생산지수'(계절조정)는 8월 115.6으로 1년 전보다 1.7% 상승했다.
다만 소비 심리와 연관성이 높은 숙박·음식점업은 4.4%, 도매·소매업은 3.6% 각각 감소했다. 휴가철 소비가 늘어나는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 소비도 0.7% 줄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7월에 호우라는 일시적 요인 때문에 소매판매의 감소폭이 컸다면, 8월에는 '플러스'가 나왔어야 했는데 8월에도 '마이너스'였다는 것은 지금 소비가 안 되고 있다는 뜻"이라며 "수출이 빨리 회복을 못하는 상황에서 소비가 어느 정도 역할을 해주면 좋은데 그렇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소비 둔화 흐름은 2분기 지표에서도 드러났다. 한국은행의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자료에 따르면, 2분기 민간소비는 전분기보다 0.1% 감소했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작년 4분기 -0.5%에서 올해 1분기(0.6%) 반등에 성공했지만, 두 분기 연속 성장하는 데는 실패한 것이다.
당시 한은은 "연초 방역조치 전면 해제로 크게 늘었던 대면활동 소비가 일시적으로 주춤했고, 5월 연휴 기간 기상여건 악화도 영향을 미쳤다"며 일시적 소비위축으로 진단한 바 있다.
그렇지만 7∼8월 통계치를 분석하면, 하반기에도 민간소비가 눈에 띄게 반등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여기에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금리 장기화' 예고, 다시 오름세를 그리고 있는 국제유가 흐름 등 최근 부각한 대외악재들도 국내소비의 걸림돌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김정식 연세대 교수는 "소비는 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고금리 때문에 이자 부담이 많이 늘어나 있고, 가처분 소득이 줄면서 소비를 제약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은행에 꼬박꼬박 원금과 이자는 갚더라도 이제 쓸 돈이 없다는 것"이라며 "가계부채의 덫에 빠졌다는 것인데, 그래서 소비가 좋지 않다는 것은 변수가 아니라 상수"라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