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굴,연꽃,용..정교한 걸작, 내소사 동종, 국보 된다
2023-10-31 17:26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부안 내소사 동종(銅鍾·구리 종)’은 아랫부분과 윗부분에는 덩굴무늬 띠를 둘렀고, 어깨 부분에는 연꽃 문양을 장식했다.

꼭대기 부분의 장식인 용뉴는 마치 공중을 비행하는 듯 역동적인 모습을 띤다. 이 처럼 정교하게 만들어진 내소사 동종이 1963년 보물로 지정된지 60년만에 국보로 승격된다.


문화재청은 1963년 보물로 지정된 '부안 내소사 동종(銅鍾·구리로 만든 종)'을 국보로 승격할 예정이라고 31일 예고했다.

문화재청은 또 신라시대 문화를 보여주는 주요 유물인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등 총 5건의 문화유산을 보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들 문화유산의 예고기간은 30여일이다.

부안 내소사 동종은 높이 103㎝, 입지름 67㎝ 크기의 이 종은 고려 후기 동종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일신라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고려의 특징이 드러나는 대표작이다.

문화재청은 "균형 잡힌 비례와 아름다운 곡률을 가진 몸체 등 뛰어난 장식성과 조형성을 지녀 고려 후기 동종의 본보기가 된다"고 설명했다.

내소사 동종은 종에 대한 내력을 명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크다. 종을 만든 내력이 적힌 주종기(鑄鍾記)에 따르면 이 종은 '한중서'라는 이름의 장인이 1222년 약 700근(약 420㎏)의 무게로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중서는 13세기 전반부터 중엽까지 활동한 장인으로 고령사 청동 북(1213년), 복천사 청동 북(1238년), 신룡사명 소종(1238년) 등 여러 작품을 남긴 것으로 확인된다.

종에는 원래 청림사에 봉안됐다가 1850년 내소사로 옮겼다는 내용도 새겨져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한국 범종 사와 제작 기술과 기법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며 봉안처, 발원자, 제작 장인 등 모든 내력을 정확히 알 수 있어 가치가 크다"고 말했다.

보물로 지정 예고된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일제강점기인 1924년 조선총독부 박물관이 발굴한 금 허리띠로, 금령총에서 나온 주요 유물 중 하나다.

이 허리띠는 꾸밈 장식의 크기가 작은 편인데, 다른 신라 무덤에서 나온 드리개 장식보다 길이가 짧아 무덤 주인을 미성년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 다른 고분인 서봉총에서 1926년 발굴한 금 허리띠는 화려한 장식이 돋보이는 유물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드리개 장식 대부분이 금제로 이루어져 있고,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 중 드리개 길이가 가장 길어 예술적 가치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 유물은 신라의 금제 허리띠 제작 기술의 흐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부처 앞에 깨끗한 물을 담아 바치는 도구로 쓰였으리라 추정되는 '청자 음각앵무문 정병(淨甁)'은 고려청자 정병의 변천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특히 몸체 3곳에 날개를 활짝 편 앵무새를 음각으로 새겨 정병 유물 중에서는 희소한 사례로 꼽힌다.

이 밖에도 문화재청은 조선의 개국공신인 복재(復齋) 정총(1358∼1397)의 유고 시문집인 '복재선생집', 경북 안동 선찰사의 목조석가여래좌상과 복장 유물을 각각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조성 발원문에 따르면 선찰사 불상은 광해군 부인 유씨(장열왕비·1576∼1623)가 왕실의 비빈(妃嬪)이 출가하던 자수사, 인수사에 봉안하기 위해 만든 불상 중 하나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은 국보와 보물로 지정 예고한 각 문화유산에 대해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확정할 예정이다.



abc@heraldcorp.com



랭킹뉴스


COPYRIGHT ⓒ HERALD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