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규(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8일 서울 콘퍼런스 하우스 달개비에서 열린 ‘제3차 불금 간담회’에서 철강업계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8일 “철강 산업이 저탄소·고부가 첨단 소재 산업으로서 더욱 도약하도록 다방면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방 장관은 이날 서울 콘퍼런스 하우스 달개비에서 열린 ‘제3차 불금 간담회’에서 “우리 철강 산업은 글로벌 탄소 규제 강화, 수요 산업 변화 등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방 장관은 지난 9월 취임 후 기계로봇 등 주요 산업 분야별로 ‘경제 성장의 불씨를 살리는 금요 조찬 간담회’를 뜻하는 ‘불금 간담회’를 열고 업계 관계자들과 소통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포스코 김학동 부회장, 현대제철 서강현 사장, 동국제강 최삼영 부사장, 세아제강 이휘령 부회장, 철강협회 변영만 부회장 등 철강 기업 경영진들이 참석한 가운데 철강 산업 주요 현안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미국, 일본, 유럽연합(EU)등 주요국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 주도로 수소환원제츨 등 혁신기술 개발과 대규모 설비투자를 추진 중이다. EU는 853조원 규모의 그린딜을 실행 중이며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투자금 중 480조원을 에너지·기후변화에 배정했다. 우리나라는 국가연구개발(R&D)사업을 통해 100만톤급 수소환제철 등 기술개발 중이다.
또 EU가 지난 10월부터 철강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관련 탄소배출량을 의무적으로 보고받으면서 국내 철강업계는 비상이다. 전환 기간이 종료된 2026년 1월 1일부터는 수출품의 제조 과정에서 EU 기준을 넘어서는 탄소배출량에 대해 배출권(CBAM 인증서)을 구매해야 한다. 사실상 ‘탄소세’라는 추가 관세다.
국내 철강산업의 경우 제조·공정 과정에서 사용되는 석탄으로 인해 대규모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구조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국내 기업들은 EU의 CBAM 시행으로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국내 철강산업이 구조를 친환경 수소 등으로 획기적으로 전환하지 않는 이상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기업인들은 대내외 탄소 감축 요구와 글로벌 수요 부진에 대응하기 위해 수소 환원 제철과 같은 탄소중립 기술 도입, 적극적인 투자·세제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oskymo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