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워크아웃, 이젠 채권단 내 줄다리기 시작된다
2024-01-14 14:35


사진은 서울 영등포구 태영건설 본사의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태영건설 워크아웃이 시작되면서 이젠 채권단 내 줄다리기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채권단이 주채권단(태영건설에 직접대출 보유)과 PF 대주단(PF 사업장에 대출)으로 나뉘기 때문이다. 어디서 신규자금 부담하는지를 두고 두 채권단이 갈등을 빚을 수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과 산업은행은 2012년 제정돼 2014년 개정 작업을 거친 ‘워크아웃 건설사 MOU 지침(가이드라인)’을 적용키로 했다.

이에 따르면 워크아웃 개시까지 발생한 부족 자금과 워크아웃 이후 PF 사업장 이외의 사유로 발생한 부족 자금은 주채권단이, PF 사업장 처리 방안에 따른 필요 자금은 대주단이 대야 한다. 자금 부족이 불분명한 경우 양측이 절반씩 지원 후 회계법인 등 제3자 실사를 거쳐 사후 정산하도록 했다.

문제는 자금 부족 원인이 항상 분명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에도 주채권은행은 PF 대주단이, PF 대주단은 주채권단이 신규 유동성을 지원해야 한다며 서로 미루는 일이 있었다.

심각한 경우 이 때문에 워크아웃에 실패키도 했다. 풍림산업과 우림산업은 PF 미지급 공사비 지원과 관련한 채권단과 대주단 간 이견 등으로 자금을 제때 지원받지 못해 법정관리로 넘어갔다.

산업은행 등은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운영위원회를 구성하겠단 계획을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가이드라인에도 운영위원회를 만들도록 돼 있다. 이른바 ‘태영건설 주채권단·PF 대주단 공동 위원회(가칭)’이다. 아울러 산은은 자금관리단을 구성해 태영건설에 파견한다.

실사 법인으로는 삼일회계법인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사 회계법인은 신규 자금 지원의 주체를 정하는 일 외에도 태영건설의 자산부채 실사 및 존속능력평가 등 전반적인 평가를 도맡는다.

앞서 태영건설은 총 9조5000억원가량의 보증채무 중 2조5000억원만이 우발채무라 불리는 '유위험 보증채무'라고 주장했다. 브릿지론 보증(1조2000억원)과 분양률 75% 미만의 본 PF 보증(1조3000억원)만 계산했다.

그러나 태영건설이 무위험보증(분양률 75% 이상 본 PF 보증·사회간접자본 사업 보증·책임준공 확약)으로 분류한 채무 중에서도 실사 결과 우발채무로 분류되는 사례가 나올 수 있다.

태영건설이 참여 중인 PF 사업장 60곳에 대한 처리 방안을 결정하는 것도 실사 과정의 핵심이다. 이 중 개발 사업 초기인 브리지론 사업장 18곳은 일부를 제외하고 시공사 교체나 경·공매 등 정리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공사가 일부 진척되거나 사업성이 어느 정도 있다고 판단된 사업장들도 난관이 많다. PF 사업 정상화를 위해서는 공사비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것이 필요한데, 현재 부동산·건설 경기 침체 등으로 PF 시장 유동성 부족이 지속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th5@heraldcorp.com



랭킹뉴스


COPYRIGHT ⓒ HERALD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