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국내 기업의 ‘글로벌 수출 전략’ 마련에 총력 지원”
2024-02-07 08:34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상근부회장 주재로 지난 6일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무역협회 10개 해외지부장이 온라인으로 참석한 가운데 ‘주요 시장별 수출 확대 전략 회의’를 진행하는 모습. [한국무역협회 제공]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한국무역협회(KITA)는 지난 6일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정만기 부회장 주재로 무역협회 10개 해외지부(도쿄, 뉴욕, 워싱턴 D.C., 브뤼셀, 베이징, 상하이, 호치민, 뉴델리, 자카르타, UAE)장이 온라인으로 참석한 가운데 ‘주요 시장별 수출 확대 전략 회의’를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제현정 워싱턴 지부장은 “향후 우리 기업의 대미 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변수는 미국 대통령 및 상‧하원의원 선거 결과로 우리 기업은 주요 대선 후보의 경제‧통상 관련 공약을 사전에 살펴보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준봉 뉴욕 지부장은 “최근 자동차‧IT 제품 등 한국의 대미 수출 주력 품목에 대한 미국의 수입 확대로 대미 수출 호조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중소 무역 업체는 여전히 미국 유통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뉴욕 지부는 아마존 등 온라인 판매 채널과 현지 한인 커뮤니티를 활용한 소비재 수출 확대 지원 사업을 적극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선영 상하이 지부장은 “최근 중국 경제에 대한 비관론이 확대되고 있으나 중국 경제는 지난해 3분기 5.2%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미국‧유럽‧일본 대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만큼 우리 기업들의 중국 시장 진출이 확대돼야 할 것”이라며 “중국의 변화를 제대로 파악하고 우리의 대응 전략을 모색해 구매력 높은 소비시장이자 첨단 산업 기지로 중국을 활용할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종욱 브뤼셀 지부장은 “지난해 10월부터 전환 기간에 돌입한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따라 역외 수입 기업의 분기별 탄소 배출량 정보 보고가 의무화되며 현지 진출 기업의 애로가 커지고 있고 배터리 규정, 데이터법, 통상 위협 대응 조치 규정 등 추가적 통상 규제로 우리 기업의 애로가 심화될 전망”이라면서 “기회가 될 때마다 우리 업계의 목소리를 전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영호 뉴델리 지부장은 “인도 정부가 자국제조업 육성을 위한 관세인상정책을 유지하고 있고, 수입 모니터링 시스템, 표준규격(BIS) 인증 강화 등 비관세장벽을 확대함에 따라 우리 기업 애로가 가중되고 있다”면서 “민관 협의체를 통해 진출 기업의 애로사항을 상시 파악하고, 인도 정부 규제 대응 지원반 참여 등을 통해 우리 기업의 비즈니스를 지원해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박필재 아랍애미리트(UAE) 지부장은 “지난해 우리나라 대중동 수출이 2018년 이후 최대 규모를 달성했고, 자동차·전력용 기기 품목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무역 수지도 소폭 개선됐다”면서 “그러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로 관광·물류 등 주요 산업 피해가 가중되고 있는 만큼 관련 동향을 주시하며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강표 도쿄 지부장은 “최근 일본 정부는 ‘전략분야 국내생산촉진세제’ 신설을 통해 반도체‧전기차 배터리 등 5개 전략 품목을 자국에서 생산해 판매하는 기업에게 법인세 감면을 대폭 제공하는 등 일본판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마련했다”면서 “우리 업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관련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정석 호치민 지부장은 “지난 10년간 중국 실질 임금이 연평균 7.6% 상승하는 등 중국 내 생산 비용이 높아짐에 따라 새로운 생산 기지로 베트남을 택하는 중국 기업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외국인 투자 확대가 베트남 경제 호조세를 이끄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베트남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시장을 활용하고, 베트남 내 사회 인프라 개선 사업 및 공공 투자 사업 참여 기회를 적극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형선 자카르타 지부장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최근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사전수입승인제도(PI), 선적 전 검사제도(LS) 등 수입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우리 수출 기업의 애로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달 진행되는 인도네시아 대선 및 총선 결과에 따라 신수도 이전, 광물 다운 스트림 산업(정‧제련 산업) 육성 등 현 정권의 주요 정책 지속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은 “올해 ‘슈퍼 선거의 해’를 맞아 미국·EU 등 주요국 리더십 변화 및 이에 따른 경제·통상 정책의 변화가 예상된다”면서 “특히, 중국에서는 매년 8000억달러 정도의 시장이 새로이 창출되고 있고, SCI 논문 게재 수, 특허 출원 수 등이 미국을 능가하면서 AI‧데이터‧디스플레이‧바이오‧자율주행차 등 고도 기술 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가고 있어 우리로서는 중국을 활용하면서도 잘 대응하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무역협회는 앞으로도 정례적 해외지부 간담회 개최를 통해 주요 시장별 현안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정립해 우리 기업의 수출 전략 마련을 지원할 계획이다.



likehyo85@heraldcorp.com



랭킹뉴스


COPYRIGHT ⓒ HERALD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