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발진, 오히려 젊은이가 많다고?" '세대혐오' 그만!…따지고 보면
2024-07-10 14:01


4일 오전 서울 중구 시청역 인근 역주행 사고 현장에서 한 추모객이 술을 따르고 있다. 지난 1일 해당 교차로에서는 운전자 A씨가 몰던 승용차가 역주행하며 인도로 돌진해 9명이 사망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왜 급발진을 주장하는 사람은 대부분 노인인가?" 급발진 의심 사고가 날 때마다 많은 사람들이 제기하는 의심이다. 노인들이 운전 실수를 인정하지 않고 급발진이라 핑계를 댄다는 취지다.

이런 편견과는 반대로 실제 급발진 의심 사고의 절반 이상은 50대 이하가 신고한다는 통계가 나왔다. 그러나 이 역시 특정 세대의 급발진 의심 사고가 더 많다고 단정할 근거는 못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안태준 의원실이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단이 운영하는 자동차리콜센터가 지난 2014년부터 올해 6월까지 10년 6개월간 접수한 '급발진 주장' 사고 신고 건수는 총 456건이다.

이 중 신고자의 연령이 확인된 사례는 396건인데, 60대가 122건(30.8%)으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108건(27.3%)으로 두번째였다. 이어 40대 80건(20.2%), 70대 46건(11.6%), 30대 30건(7.6%), 20대 7건(1.8%), 80대 3건(0.8%)으로 집계됐다.

60대 이상은 43.2%로 50대 이하 56.8% 보다 오히려 적은 것이다.

안 의원 측의 이같은 통계를 해석할 때는 모집단 크기도 따져볼 필요가 있는데, 지난해 기준 국토교통부 자동차 등록 통계를 보면, 개인 등록 차량 2184만여대 중 60대 이상이 차주인 경우는 31.6%, 50대 이하는 68.4%였다. 즉 50대 이하에서 급발진 주장이 많은 것은 그만큼 50대 이하 운전자 수가 많기 때문으로도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전체 등록 차량 대비 급발진 신고 의심 건수가 0.0018%로 매우 낮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특정 세대의 급발진 신고가 더 많다고 판단하는 것은 통계적으로 무리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전문가들은 특정 연령의 문제로 접근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한다. 자동차급발진연구회 회장인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급발진 의심 사고는 다양한 연령층에서 자주 발생한다"며 "이번 시청역 사고로 고령 운전자가 주로 일으키는 사고로 잘못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고령자 운전 제한에 집중하기보다 비상자동제동장치(AEBS),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등 급발진 의심 사고를 막을 수 있는 장치의 도입을 확대해 사고를 예방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밀 검사로 개인의 건강 상태를 확인해 운전 조건을 달리하고, 운전면허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paq@heraldcorp.com



랭킹뉴스


COPYRIGHT ⓒ HERALD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