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에 잘나가는 ‘부실채권 매입’ 인력…신협·수협 ‘인재 모시기’
2024-11-01 09:00


[신협중앙회 제공]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신협과 수협 등 상호금융권에서 잇달아 부실채권(NPL) 정리 회사를 설립하고 인재 모시기에 나섰다. 부실채권이 급격히 늘어나자 직접 자회사를 세우고 전문 인력을 충원해 건전성을 관리하기 위해서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신협중앙회 서울사무소에 설립한 부실채권 정리회사 ‘KCU NPL 대부’는 부실채권 매입 경력직 채용을 진행한 데 이어 상시 채용까지 검토 중이다. KCU NPL 대부는 신협의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지난 5월 설립된 자회사로, 신협중앙회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상호금융권 관계자는 “연체채권이 단기간에 해소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채권 매입 전문 인력을 계속해서 늘려갈 것”이라며 “연봉체계가 중앙회와 같진 않지만 인력이 부족하다 보니 처우가 나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당초 신협중앙회는 KCU NPL 대부를 중앙회 본부가 있는 대전광역시에 세우려 했지만, 인재 채용에 어려움을 겪자 사무실을 서울 사무소가 있는 서울특별시 중구로 결정했다. 이렇듯 신협중앙회가 인재 영입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그만큼 부실채권이 급격하게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국 873개 신협의 고정이하분류여신 잔액은 2021년 말 2조3645억원에서 2022년 말 2조7782억원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지만, 고금리 장기화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커진 지난해 말엔 4조8232억원으로 73.6% 급증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고정이하분류여신이 7조2931억원으로 51.2%나 늘어난 상태다.

농협, 새마을금고 다음으로 상호금융권에서 자산이 큰 신협의 전체 연체율은 2분기 기준 6%대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신협중앙회는 100억원을 출자해 서둘러 KCU NPL 대부를 설립했고, 향후 900억원을 더 출자할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개별 신협 조합이 경·공매를 진행하고 부실 채권을 매각하는 것보다 자회사인 대부회사를 통해 부실채권을 털어내는 것이 더 신속하게 연체율을 관리할 수 있어서다.

신협중앙회 관계자는 “신협중앙회가 만든 대부회사는 신협의 채권만 사올 수 있게 되어 있다”면서 “이제 막 설립한 자회사를 잘 운영하면서 개별 신협의 건전성 관리에 방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협에 비해 규모가 작은 수협중앙회도 최근 이사회를 열고 500억원을 출자해 ‘Sh대부’를 설립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사무실은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수협중앙회 본부 안에 마련될 예정이다.

수협 관계자는 “현재 대부업 등록 절차를 밟기 위해 정관을 작성하고 창립총회를 열기 위해 준비 중”이라며 “직원 규모는 최소한의 인원을 먼저 채용한 뒤 추후에 늘리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협 또한 2021년 말 고정이하분류여신 잔액이 5849억원에 불과했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1조4475억원 급증한 2조324억원을 기록했다. 10월 기준 수협의 연체율은 6.85%로 3개월 전( 6.08%)보다 0.8%포인트 가까이 상승했다.

이에 따라 신협·수협의 인재 모시기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새마을금고의 경우 2013년 새마을금고중앙회의 자회사인 MG신용정보가 설립한 손자회사 MCI대부를 통해 부실채권을 매각하고 있다. 전국 새마을금고는 3분기까지 MCI대부에 2조1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처분했다.

농협은 대부업체를 설립해 금감원에 등록하는 신협, 수협, 새마을금고와 달리 농협법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다. 농협조합의 채권 매입을 담당하는 농협자산관리회사는 2001년 ‘농업협동조합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에 근거법을 마련해 영업을 시작했다. 전국 각지에 센터를 두고 있으며 농협은행 카드연채채권을 전담관리하는 카드집중관리센터도 갖추고 있다.

한편,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부실채권 정리회사인 채권매입추심업체 수는 856개로 나타났다.



moone@heraldcorp.com



랭킹뉴스


COPYRIGHT ⓒ HERALD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