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문제
70세 이상 이산가족 매년 6000명 이상 만나야 생애 한번이라도 상봉
뉴스종합| 2014-02-20 11:07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현재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한 생존자들이 생전에 한번이라도 헤어진 가족과 만나려면 남북이 매년 최소 상봉인원을 6600명 이상을 늘려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특히 70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에는 향후 10년간 매년 6000명 이상이 상봉해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현경연)은 이산가족 상봉 당일인 20일 공개한 ‘80세 이상 고령 이산가족을 위한 긴급 대책 필요’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고령자의 생존기간이 10년 남짓에 불과하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현경연은 “현재 이산가족은 평균기대여명이 50~60대 24.4년, 70~80대 9.6년이라는 점에서 20년 내 거의 사망하고 70세 이상의 고령층은 10년 내 대부분 사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현재 모든 생존자들이 생애 한번이라도 상봉하기 위해서는 최소 상봉인원을 매년 6600명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현경연은 특히 “80대 이상의 평균기대수명을 초과한 이산가족에 대해서는 긴급 특별상봉을 추진하는 한편, 상봉 확대를 위해 다양한 상봉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80대 이상의 이산가족에 한해 전원상봉을 전제로 대규모 특별상봉을 조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를 상시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며 “이곳에서 생사확인 등에 대한 상시 정보교환과 정례화 지원체계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또 “대면상봉 이외에도 생사 확인, 서신교환, 화상상봉 등 다양한 상봉 방식이 필요하다”면서 “고령화로 거동이 불편한 이산가족이 상당수임을 고려할 때, 장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대면상봉보다 용이한 화상상봉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현경연은 이와 함께 전면적인 생사 확인을 위한 ‘남북한 이산가족정보 통합시스템’ 구축, 서신교환의 제도화, 자유로운 이산가족간 우편물 전달 시스템 마련, 화상상봉장 재개 및 통신망 점검, 영상편지 사업 확대 등의 다양한 이산가족 상봉 방식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대원기자/shind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