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눈 뜨고 당하는 ‘싱크홀’…서울시 대책은?
뉴스종합| 2015-04-08 11:47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 서울 도심에 보름새 5곳의 지반이 내려앉았다. 보도나 차도가 땅 밑으로 꺼지는 ‘싱크홀’이다. 멀쩡히 지나던 시민이나 자동차가 순식간에 땅속으로 빨려들어가는 모습을 보면 말그대로 ‘눈 뜨고 당하는’ 셈이다.

지난 7일 오후 지하철 5호선 장한평역 1번 출구 인근에서 발생한 싱크홀도 마찬가지다. 환기구 옆 보도를 걷던 청년이 가로 0.8m, 세로 1.5m, 깊이 2.2m의 싱크홀에 빠졌다.

큰 부상은 없었지만 발 밑에서 느껴지는 공포감은 쉽게 지울 수 없다.

하루가 멀다하고 발생하는 싱크홀에 정부와 서울시는 속수무책이다. 원인은 알아도 대책은 겉돈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도심 싱크홀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하수관 손상’이 첫번째 원인이다. 노후화된 하수관 틈새로 물이 새면서 토사가 쓸려 내려가고 구멍이 생기는 것이다. 싱크홀 원인의 85%를 차지한다.

두번째 원인은 도로를 만들 때 시공이 불량했거나 지하 공사를 진행하면서 관리가 부실한 경우다. 용산역 앞 공사장 싱크홀(2월20일)과 지하철 9호선 삼성중앙역 인근 싱크홀(4월2일)이 대표적이다.

마지막으로 굴착 공사로 지하수 수위가 내려가면서 동공이 발생한 경우다. 지난해 8월 석촌지하차도에서 발생한 싱크홀이 그것이다.

대책도 비교적 명료하다. 매립한지 50년이 지난 하수관은 우선 교체하고, 공사장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겠다는 게 서울시의 대책이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이는 사후 대책에 불과하다. 지금도 서울 도심 어디선가 지반 침하 현상이 진행되고 있지만 사전에 이를 파악할 뚜렷한 방도가 없다. 말그대로 속수무책이다.

서울시는 부랴부랴 노면 하부 싱크홀 탐사에 민간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싱크홀 탐사를) 서울시만 하기에는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다”면서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선 민간업체도 동공(싱크홀) 발굴에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관련 연구용역을 조만간 발주할 계획이다.

8월 말에는 최신 GPR(지반탐사레이더) 장비도 도입된다. 국내 GPR 장비는 싱크홀을 감지하는 전파선이 1개에 불과하지만 일본 GPR 장비는 전파선이 3개여서 한번에 1개 차선을 진단할 수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일본 장비를 벤치마킹한 ‘멀티 GPR’ 장비를 구매, 제작하고 있다”면서 “계획대로라면 8월 말께 1대가 들어온다”고 말했다.

최신 GPR 장비를 들여왔다고 해서 안심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서울 도심 하수관은 총 연장 1만392㎞로, 이중 약 5000㎞(48.3%)가 노후화됐다.

보수가 시급한 도로함몰 우려지역 하수관만 3700㎞ 달한다.

결국 예산을 쥐고 있는 중앙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한 전문가는 “싱크홀은 국민 생활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정부 차원의 싱크홀 종합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ipe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