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리 추가 인상은 美와 속도 맞추기? 올 연말까지 1.75% 가능성 ‘솔솔’ [기준금리 인상]
뉴스종합| 2022-01-14 11:23

한국은행이 14일 기준금리를 코로나19 이전 수준인 연 1.25%로 되돌려놓으면서 통화정책 속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미국이 긴축으로 통화정책 방향 전환을 선언하면서 한은이 연내 추가 인상에 나설 것은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관건은 속도와 폭이다. 당장 미국에선 긴축이 예상보다 더 빠르게 나타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UBS글로벌웰스매니지먼트의 최고투자책임자(CIO) 켈빈 테이는 미 경제방송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매입자산 규모 축소를 예상보다 빠르게 단행할 수 있다”며 “테이퍼링이 끝나는 3월에 연준이 금리를 올릴 확률은 75%”라고 말했다. 그는 “연준이 올해 두세 번의 금리 인상에 나서고, 최대 네 차례 올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국내 경제전문가들도 미국이 연말까지 1.0% 수준으로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한은의 통화정책도 이에 결을 맞출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본다.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 교수는 “미국이 연말까지 연 1%로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한국도 1.75%까지 올려야 하는 게 컨센서스”라고 말했다.

이처럼 국내 통화정책에 미 금리 인상 흐름을 고려해야 하는 것은 연준의 긴축이 아시아 국가 특히 신흥국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연준이 2013년 양적 완화 축소를 발표하자 당시 아시아·신흥국 금융시장은 패닉(공황)을 넘어 발작을 일으켰고, ‘테이퍼 탠트럼(긴축발작)’이라 했을 정도다. 당시 미국의 유동성 축소 우려에 투자자들은 채권을 매도했고, 미 국채금리가 오르면서 아시아 국가들은 자본 유출과 통화가치 하락을 겪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달러 유출을 막기 위해 신흥국은 금리 인상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이자를 더 줄 테니 한국 시장에 머물라는 것인데, 이 경우 부채 상환 증가나 경기 둔화의 경제 충격을 감수해야 한다. 선제적으로 속도 조절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실제 국제금융센터가 3차례 미국 기준금리 인상기(1994, 1999, 2004년)를 분석해 봤더니 미국보다 한국의 주가 하락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미국은 -9.7% 하락했는데 우리나라는 -19.3%로, 미국 주가 하락폭의 2배나 됐다.

2013년 당시 한국 기준금리는 2.5%로 한·미 금리차는 최대 2.25%였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상황이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지금 같은 속도로 경기 회복이 이뤄진다면 연말까지 기준금리 1.75%까지 인상이 충분히 가능하고 더 올릴 수도 있다”면서 “한국 경제가 상대적으로 타국 대비 인플레이션 수준도 괜찮기 때문에 앞으로도 2~3번의 추가 인상에 나설 수 있다고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만 코로나19 재확산 등으로 인한 경제성장 전망의 불확실성과 높은 부채를 고려할 때 ‘속도조절’에 나설 것이란 예상도 있다. BNP파리바는 한국의 통화정책 전망에 대해 “1월 금리 인상은 코로나19 재확산 등에도 인플레이션 압박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며 “그러나 최근 집값 상승 및 가계부채 증가가 둔화되는 추세가 지속된다면 추가 긴축 필요성이 줄어들 수 있다”고 전했다.

성연진·박자연 기자

yjsung@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