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AI 3대강국 도약’, 화려한 구호로만 그쳐선 안 돼
뉴스종합| 2024-09-27 11:21

정부가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출범하고 AI 인프라 확충을 포함한 ‘4대 AI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2027년까지 민간으로부터 65조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고 세액 지원 등을 통해 투자활성화를 도모하겠다는 구상이다. AI기술 개발과 안전한 사용을 총괄할 컨트롤타워가 마련된 것은 긍정적이지만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 위한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특히 1호 과제로 제시된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은 시급한 과제다. 현재 국내 AI 인프라 수준은 크게 뒤처진 상태다. 실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고성능 AI 칩이 단 한 개도 없고, 국내 기업 전체를 합쳐도 2000개 수준에 불과하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가 각각 15만개를 보유한 것과는 차이가 크다. 정부는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규모를 현재 대비 15배 이상 확장해 2엑사플롭스 이상의 처리능력을 갖춘 AI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고성능 AI 가속기칩인 엔비디아 ‘H100’ 3만개에 해당하는 규모로 연구환경 개선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인재 확보 역시 핵심 과제다. 2020년 기준 한국의 AI 인재 수는 2551명으로, 전 세계의 0.5%에 불과하다. 그나마 40%가 해외로 유출되고 있다. 석·박사 과정을 마친 인재 상당수가 더 나은 임금과 연구환경을 찾아 해외로 떠나는 것이다. 대기업 90%가 AI 고급 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인재 유출은 국내 AI산업의 경쟁력 저하로 직결되는 만큼 합당한 임금·보상 체계 등을 통해 고급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의과대학 쏠림 현상으로 이공계 지원자가 부족한 것도 함께 풀어야 할 숙제다.

주요국들은 AI를 국가 핵심 전략산업으로 보고 전폭적 지원에 나선 지 오래다. 중국은 2017년 AI 발전계획 발표 이후 대대적 지원으로 2021년 기준 세계에서 가장 많은 AI 인재(29%)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AI와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분야 중심으로 대학 전공을 개편하고 있다고 한다. AI 민간투자 규모도 2022년 약 170억달러(약 22조원)로 한국의 10배 이상 앞서가고 있다.

반면 우리는 AI산업의 제도적 기초인 ‘AI 기본법’조차 없다. 산업적 지원과 안전한 이용을 위한 규범 마련이 시급하다. 지난 국회에서 여야가 사실상 합의한 만큼 정쟁으로 미룰 일이 아니다.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정부는 단순한 구호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이고 지속적 지원이 필요하다. 민간투자 활성화방안, 인재 확보, AI 발전에 필수적인 전력인프라 확충 등 보다 구체적인 방안이 나와야 한다. 뒤처진 만큼 속도를 내야 한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