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
北 장거리로켓 뒤 핵실험 카드 만지작?
뉴스종합| 2012-12-03 15:04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이 국제사회의 철회 요구에도 불구하고 발사대에 1단 로켓을 장착하는 등 장거리로켓 발사 강행 움직임을 보이면서, 발사 뒤 핵실험 실시 가능성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북한의 과거 두 차례 핵실험 실시 시기는 모두 장거리로켓 발사 직후다. 북한은 2006년 7월 대포동 2호를 발사한 뒤 같은 해 10월 1차 핵실험을 했으며, 2009년 4월 은하 2호 발사 뒤 5월에 2차 핵실험을 감행했다.

핵실험은 장거리로켓과는 또 다른 차원의 문제다. 국제사회도 우주의 평화적 이용을 명분으로 내세운 장거리로켓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곤 했지만, 핵실험 뒤에는 한목소리로 강도 높은 제재에 나섰다.

실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006년과 2009년 북한의 장거리로켓 발사와 핵실험 뒤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어떠한 발사 또는 핵실험을 금지하는 내용의 대북제재 결의안 1718호와 1874호를 각각 통과시켰다.

북한은 과거 핵실험을 했던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 4개 정도의 핵실험용 갱도를 구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2개는 과거에 사용했던 것이지만 다른 2개는 새로 굴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두차례 핵실험 때 플로토늄을 사용한 북한은 이제는 고농축우라늄(HEU)도 확보하고 있다는게 정설이다. 결국 북한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핵실험에 나설 수 있는 물질과 시설을 확보하고 있는 셈이다.

현재까지는 북한이 핵실험 준비에 나선 정황은 파악되지 않고 있다. 정부 소식통은 3일 “핵실험을 하기 위한 구체적인 준비 동향은 없지만 기술적인 준비는 돼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북한의 3차 핵실험 감행 여부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등 북한 최고지도부의 정치적 결단에 달려 있다.

일각에선 북한이 장거리로켓을 발사한 뒤 국제사회의 제재가 뒤따를 경우 북한이 추가 도발로 핵실험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반면 북한이 3차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한국과 미국은 물론 정권교체가 진행중인 중국도 부담감을 안게 되고 정치적·경제적 지원을 철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쉽게 결정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북한은 지난 4월 장거리로켓을 발사하기는 했지만 핵실험까지 나가지는 않았다.

/shind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