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문제
통일부 “北핵실험 따른 방사능 유출 예의주시”
뉴스종합| 2017-09-06 11:45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통일부는 6일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따른 방사능 유출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핵실험으로 북한 주민의 피폭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방사능 유출 시 피해의 심각성 등을 고려해서 관련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전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해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따른 북한 주민 피폭 문제와 관련, “구체적으로 설명해 드릴 만큼 결과는 갖고 있지 않다”면서도 “피폭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3일 6차 핵실험을 실시한 직후 인근에서 규모 4.4의 함몰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면서 핵실험장 붕괴 가능성과 함께 이에 따른 방사능 유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북한 전문 매체 38노스는 5일(현지시간)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제6차 핵시험 후 이전의 5차례 핵시험 때에 비해 훨씬 넓은 지역에서 더 많은 산사태가 일어난 것이 위성 사진을 통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한 원자력 전문가는 “산사태로 인해 지반이 무너져 방사능 유출이 발생했다면 인근 주민들이 피폭됐을 가능성이 크다”며 “한국까지 유출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육상과 해상, 공중에서 공기 시료를 모아 분석한 결과 제논(Xe) 등 방사성 핵종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원안위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지난 3일 이뤄진 북한의 핵실험과 관련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시료를 수집, 분석 작업을 벌였다. 그 결과 핵실험 정보를 얻어낼 수 있는 방사성 제논은 나오지 않았다. 제논 동위원소는 자연상태에서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이런 인공 동위원소들이 탐지되면 핵실험이 있었다는 증거가 된다.

핵실험 후 공기 중 제논 동위원소들의 구성 비율을 분석하는 데 성공하면 구체적인 핵폭탄 제조 방법과 기술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핵실험으로 나오는 방사성 제논은 반감기가 짧은 데다 대기 중으로 퍼지는 성질이 있어 포집하기 까다롭다. 이 때문에 제논을 탐지하려면 핵실험 후 10일 이내에 수집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원안위와 KINS는 과거 5차례 북한 핵실험 후에도 방사성 제논 포집을 시도했으나 유용한 정보를 얻지는 못했다. 1~3차, 5차 핵실험 때엔 방사성 제논이 검출되지 않았다. 4차 핵실험에서는 한 종의 동위원소가 탐지됐지만 양이 적어 원안위는 유의미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다. 원안위 관계자는 “앞으로도 공기 시료를 추가로 수집, 분석해 방사성 핵종이 있는지 다시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 방사능 감시망에 따르면 우리 전국은 현재까지 평상시 측정값인 시간당 50∼300나노시버트(nSv)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munja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