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 밀리터리
또하나의 주역인데...방산 중기의 한숨 [OK! K방산 ④]
뉴스종합| 2022-12-01 11:42
‘K-방산’ 수출 수주액 20조원 시대에 진입하면서 중소·중견 방산기업들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지난 9월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대한민국 방위산업전시회(DX Korea 2022)’에서 관람객들이 전시장을 둘러보고 있다. [특별취재팀]

‘K-방산’ 수출 수주액 20조원 시대의 또 하나의 주역은 중소·중견기업들이다. 이들은 체계 개발을 담당하는 대기업에 수많은 소재·부품·장비를 공급하며 K-방산을 뿌리서부터 떠받치고 있다. 하지만 과거에 비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대형 수출 계약이 성사될 때마다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잖은 소외감과 어려움도 겪고 있다.

한국방위산업진흥회(방진회)에 따르면 방진회 회원사 기준으로 한국 방산업체는 665개에 달한다. 여기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LIG넥스원,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체계 개발이 가능한, 어느 정도 규모를 지닌 80여개 업체를 제외한 580개 업체가 소재·부품·장비를 납품하고 검사장비 등을 판매하는 중소·중견기업이다.

헤럴드경제는 연매출 100억원 규모의 업체들로부터 K-방산 20조원 시대를 바라보는 목소리를 들었다. 군수 항공전자시스템 시험 및 장비 공급 전문업체인 A업체 임원은 “대기업이 물건을 사주면 매출이 늘고 아니면 줄어드는 현실이라, 대기업이 우리 물건을 써주기만 바라는 게 중소·중견기업들의 상황”이라며 “하청에 하청을 받아 생산하게 되는데 방산계약은 가격이 딱 정해져 있다 보니 납기액 맞추고 대기업 입장 맞추다 보니 수익이 줄어드는 게 근본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방산업체는 국가기술 유출 문제로 해외 판매가 쉽지 않아 해외 사업 자체가 어려운 편”이라며 “외국에서 문의가 오거나 관심을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 해외 매출로 이뤄지지는 않고 있다”고 소개했다.

통신·전자기기 제조업체인 B업체 관계자도 “방산업계 특성상 독자적으로 외국에 물건을 파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대기업이 계약을 수주해오면 그에 맞춰 생산하고 납품하는 게 중소·중견업체들의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선진기술 진입장벽도 여전하다. 이 관계자는 “영세업체로서는 해외 선진기술을 접하기 어렵다는 게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라며 “국방과학연구소(ADD)나 대기업에서 해외 선진기술 동향이나 발전 흐름을 공유해주면 이를 공부하면서 기술 수준을 쫓아가려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과거에 비해 정부 지원 등은 체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한다. B업체 관계자는 “예전에는 선행연구 과정에서 정부 지원받기 어려워 대기업 지원이 있을 때야 비로소 기술 개발을 할 수 있었다”면서 “최근에는 정부 차원에서 ‘부품 국산화 사업’, ‘미래도전과제 100억원 사업’과 같은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어 상황이 조금 나아졌다”고 말했다. 또 “국산 무기 체계 수출이 늘어나면서 국내 시장 부품 판매로 한정됐던 매출이 늘어났다”고 덧붙였다. A업체 임원은 “요즘 K-방산이 화제가 되면서 대기업들도 외국에서 도입하려던 장비나 부품을 국산으로 돌리는 경향도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방진회 관계자는 “방산 분야 중소·중견기업 생태계를 튼튼히 하기 위해서는 정부도 한국산 우선획득제도 법제화 및 수출 지원, 핵심부품 국산화, 전략부품 개발 지원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업계 스스로 적극적인 기술 개발과 국산화를 높이기 위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중소·중견기업 참여 확대 방안이 적극 추진된다면 연구개발과 생산, 품질 면에서 국제적 역량과 인증을 갖춰 해외 주요기업 글로벌 공급망 참여 등을 통해 수출도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성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