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
‘망루’와 ‘사드’ 가를 분수령…반년 만에 만나는 한중 정상
뉴스종합| 2016-09-02 09:57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4~5일 중국 항저우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하기로 하면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ㆍTHAAD) 배치 문제로 벌어진 양국 관계가 얼마나 복원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이 시 주석을 만나는 건 지난 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핵안보정상회의 기간 회담을 가진 이후 6개월 만이다. 7월 사드 배치 공식 발표 이후는 처음이다. 지난 3월 만남에서 시 주석은 당시 가능성 정도로 언급되던 사드 문제에 대해 먼저 반대 의사를 명확히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시 주석에게 사드에 대한 안보적 중요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대북제재 공조 강화를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미국은 사드 배치 필요성을 당위성 차원에서 접근하는 반면 중국은 이에 아랑곳 않고 배치 결정 철회를 요구하고 있어 양국간 접점을 찾기는 사실 쉽지는 않다.

그럼에도 정상회담이 성사된 것은 양국이 사드 문제로 인해 관계 전반이 틀어지는 것을 막으려는 일종의 출구 찾기 차원에서 서로 회담 필요성을 인정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근 중국 정부는 물론 관영매체들도 사드에 대한 비난을 자제하는 등 G20을 앞두고 한국을 의식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일종의 배수진을 친 서로가 부담이 있을 것”이라며 “상황 관리 차원에서 정상회담이 이뤄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때문에 설사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이 사드에 대한 반대 의사를 표명할지라도 이를 대외적으로 공개하지 않는 등 전략적으로 타협점을 찾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관건은 사드 문제로 인해 벌어진 양국 관계를 얼마나 좁히느냐다. 이번 만남으로 박 대통령이 중국 전승절을 기념해 시 주석과 함께 망루에 오르며 친선을 과시했던 일 년 전으로 돌아가기를 바라는 것은 무리다. 그러나 중국과 대북제재 공조 강화는 ‘국제사회 대 북한’이라는 구도를 통한 북핵문제 해결이라는 전략을 추진하는 우리 정부에게는 필수적이다. 일종의 ‘관리 모드’로 진입한 양국 관계를 고려해 중국이 최소한 제재 국면에서 이탈하는 것은 막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한편으로는 눈앞의 어려움에 집착하기 보다는 시야를 넓혀 장기적인 안목에서 중국과 관계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 김한권 국립외교원 교수는 “한중 간에는 사드 문제만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른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과 화합의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kw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