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 밀리터리
“작년 퇴직자 20여명, 기밀암호 푼 정황”
뉴스종합| 2020-04-27 11:40

국방과학연구소는 최근 불거진 퇴직자의 기밀 유출 건과 관련해 “지난해 퇴직자 중 20여명이 기밀자료의 암호를 푼 정황이 나타났다”며 “그들이 절차를 준수했는지 여부에 대한 수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소 관계자는 “만약 그들이 정상적인 절차를 준수했다면 자동적으로 기밀 사항이 필터링을 거쳐 일반 자료만 나가기 때문에 문제가 안 된다”며 “현재는 이 부분에 대한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소 내부망에 누군가 접속할 경우 자료 복사 등과 관련해서는 암호화가 되어 있고, 이 암호를 풀 경우 관련 기록이 남는데 이들에게 이런 기록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정상적인 절차를 준수했을 경우, 중요 기밀이 누설되지 않는 시스템이 가동되고 있어 큰 문제가 없을 거라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매년 국방과학연구소를 퇴직하는 사람들 중 방위산업체로 가는 분들, 못가는 분들, 안가는 분들이 있을 것”이라면서 “가는 분들 중에 진짜 공학적으로 뛰어나서 ‘스카웃’된 분들인지, ‘전관예우’처럼 방패막이하려고 간 분들인지, 실제로 자료 유출 목적으로 간 분들인지 등이 수사 중인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군과 경찰이 무기 개발 관련 기밀 자료를 빼내 연구소를 떠난 전직 연구원 20여명을 수사 중인 사실이 전날 알려졌다. 조사 대상자 중에는 수십 만 건 가량의 자료를 유출한 혐의자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 당국은 이들이 드론 등 무인체계, 미래전 관련 기술, 인공지능(AI) 관련 소스 코드, 설계 기밀 등의 자료를 대용량 이동형 저장장치에 담아 외부 유출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원들은 연구소를 그만둔 뒤 대부분 대학이나 유명 방산 기업에 취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일부 혐의자는 퇴직 이후의 연구를 위해 자료를 출력·저장했을 뿐 사적 이익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과학연구소 측은 “사안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있다”면서 “조사에 적극 협조해 문제점을 고치고 재발방지 대책 마련에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수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