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자동차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가 도입된 것은 지난 1986년이다. 정부와 유관단체들이 지속적으로 ‘범국민 안전벨트 착용 캠페인’을 추진해 왔으나, 30년이 지난 지금, 우리나라 운전자의 안전벨트 착용률은 아직도 77%에 그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안전의식의 변화에 얼마나 오랫동안 많은 투자와 노력이 필요한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자주 인용되고 있다.
‘안전문화’란 용어가 일반화 된 것은 1986년 구소련의 체르노빌 원자력 누출사고에 대한 원자력 안전자문단의 보고서에 처음 사용됐다. 보고서는 안전문화를 ‘안전에 대한 가치관이 모든 활동 속에서 의식화, 관행화 되어 습관이 된 상태’로 정의했다.
전체 해양사고의 약 80% 이상이 인적과실에 의한 사고임을 감안할 때, 종사자와 바다를 이용하는 국민모두의 의식개선을 통해 ‘스스로 지키는 해양안전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2013년 대국민 해양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종합대책인 ‘해양안전문화 진흥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종사자와 일반국민의 해양안전의식을 높이기 위해 전국의 해양관련 기관ㆍ단체로 구성된 해양안전실천본부를 구성하는 등 2014년부터 해양안전문화 캠페인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그러나 2014년 발생한 세월호 사고의 수습과 대응에 행정력이 집중되고, 정부조직 개편과 위축된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정책의 추진동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민간의 자율협력체계로 운영 중인 실천본부도 해운경기침체에 따른 예산, 인력 부족 등으로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세월호 사고 2년이 넘은 현시점에서 우리는 해양안전문화 확산에 대한 범국가적 캠페인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다시 한 번 고삐를 움켜쥐어야 할 것이다.
우선 대국민 해양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추진체계와 조직기반을 새로이 하고, 매월 1일 해양안전의 날 캠페인을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하는 등 국민을 대상으로 홍보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구명조끼 착용과 같은 작은 안전이슈부터 차근차근 추진하려 한다. 또 국민들의 비상대응능력 제고를 위한 종합해양안전체험시설을 건립하고 전 국민이 최소한의 생존수영을 익힐 수 있도록 훈련 매뉴얼 보급과 인프라를 확충하는 등 해양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노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더불어 국민안전처, 교육부, 지자체 등 유관 부처들과의 유기적 협업을 통해 해양안전문화 정책이 범국가차원의 정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하려 한다.
바다는 우리에게 값진 혜택과 무궁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제 대형해양사고로부터 자유롭고 바다가 주는 혜택을 마음껏 누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전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뼈아프게 인식하게 되었다. 선박종사자는 물론 국민 모두에게 안전문화가 일상화 되어 해양안전 분야에 있어서도 우리나라가 한류만큼이나 세계 안전문화를 주도하는 날이 하루빨리 오게 되길 손꼽아 기다려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