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40대의 ‘반란’…그들은 왜?
뉴스종합| 2011-10-27 12:39
환란경험·힘겨운 구직난

조기유학파 귀환에

그나마 직장생활마저 험난


낀세대로 허리한번 못펴고

MB성장론 기대 걸었지만

집장만 멀어지고 빚만…

변화욕구 표심으로 표출



40대의 반란은 조용했지만 강렬했다. 그들은 넥타이를 매고 작업복을 입고 아침밥을 거른 채 투표장으로 향했다. 해질 무렵 직장 상사 눈치를 보면서 퇴근해 묵묵히 반란에 동참했다. 서울시장 선거기간에 고른 지지를 보냈던 그들은 돌변했다. 박원순 66.8%, 나경원 32.9%. 40대의 분노의 표심(票心)에 기성정치는 경악했다.

40대는 늘 선거의 주역이었다. 2002년 대선 때 ‘변화’를, 2007년 대선 때는 ‘실용’을 각각 선택하며 노무현, 이명박 정부를 탄생시켰다. 지난해 지방선거 때 한명숙 민주당 후보를 향한 반란은 실패했지만, 이번 10ㆍ26 서울시장 선거에선 박원순 후보에게 표를 몰아줬다. 진보와 보수 성향이 혼재한 40대는 선거 때마다 지지세력이 달랐다. ‘캐스팅보트’라고 불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40대의 스펙트럼은 넓다.

1987년 민주항쟁을 경험한 민주화 세대인 40대 중후반과 이전 1차 베이비붐 세대(1955~64년생)는 1980년대 중반 신3저(저금리ㆍ저물가ㆍ저환율)에 따른 호황으로 취업은 걱정하지 않아도 됐다. 그러면서 우리 사회의 고위직에 올랐다.

이어진 세대의 사정은 달라졌다.

외환위기 때 아버지의 몰락을 지켜본 40대 초중반과 2차 베이비붐(1968년~74년생) 세대인 30대 후반부터 40대 중반까지, 그들은 윗세대와 아랫세대에 갇힌 ‘낀세대’가 돼버렸다.

‘486’(40대ㆍ80년대 학번ㆍ60년대생)세대는 1980년대 변혁의 상징으로 자리 잡지만 이후 세대는 고교 시절 전교조를 겪으면서 혼돈의 10대를, 20대 들어 당시 민주화의 주역인 거대한 386세대에 짓눌려왔다. ‘497’(40대ㆍ90년대 학번ㆍ70년대생)이라는 변형된 이름으로 불리는 이들 세대는 경계지대에 머물렀다.

환란으로 변변한 직장 한번 구하지 못하고, 어렵게 들어간 직장에서는 다음 날 책상이 없어졌다. 빵빵한 FM(아버지, 어머니의 영문 첫글자) 장학금을 받은 조기 유학파가 귀환, 인공위성처럼 윗자리에 오를 때 박탈감은 더해졌다.




현택수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그들이 겪어왔던 시대는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순탄치 못했다. 이대로 유지돼선 안 된다는 위기감, 변화에 대한 욕구가 충만한 세대”라고 분석했다.

그들은 지금까지 허리 한번 펴지 못하고 중산층으로 올라가는 사다리도 타지 못했다. 2007년 대선에서 이명박 당시 후보를 선택하면서 ‘성장’을 갈구했고, 2008년 뉴타운 공약을 내건 한나라당을 지지하면서 집이라도 한 칸 마련하기를 기대했지만 돌아온 건 은행빚뿐.

김재원 영남대 교수는 “당장의 현실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크다. 그런데도 정부와 여당은 국민을 향해 ‘입 다물고 있어’ 그런 느낌을 준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생활정치를 추구해야 할 기성정치권이 1987년 체제에서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아버지의 후광을 입은 비슷한 또래의 3세 경영자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1%가 99%를 점령하는 데 대한 분노를 표출할 곳은 투표장밖에 없었다. 거기엔 ‘안철수’라는 새로운 희망의 아이콘이 있었다. 20~30대는 거리로 나와 에너지를 분출할 때 40대는 직장과 가정에서 속으로 ‘변화’의 칼을 갈았다. 원희룡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이번 선거의 표심에 대해 “한국 경제의 허리가 되는 계층의 절규”라고 했다. 조용하지만 역동적인 40대의 욕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정치세력은 이제 살길이 없다.

40대는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전통적인 진보성향의 30대와 함께 또다시 조용한 반란을 준비 중이다.

조동석ㆍ김윤희 기자/dscho@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