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젊은층 분노, 해결책은 기성세대 반성과 노력
뉴스종합| 2011-12-09 11:09
세대간 갈등이 위험수위를 넘고 있다. 매년 50만명의 젊은이가 대학문을 나서지만, 이 가운데 절반은 실업자로 남는다. 공식적인 청년실업률은 6.7%지만 실제로는 20~30% 정도 된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처럼 청년실업 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700여만명에 달하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역시 우리 노동시장이 안고 있는 심각한 문제다. 이들이 조기에 피부양인구로 편입될 경우 우리 사회가 떠안아야 할 부담은 너무 크다.
한정된 일자리를 두고 부모와 자식세대 간에 갈등이 빚어지는 양상이다. 일자리는 생존의 문제이기 때문에 어느 한쪽에게 양보나 희생을 강요할 수도 없고 타협도 쉽지 않다. 그래서 세대간 갈등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내는 것 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다. 세대간 갈등 문제가 결국 일자리 창출로 귀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게 간단치 않다. 최근 우리 사회에는 세대간 갈등 외에도 양극화로 인한 계층 갈등, 노사 갈등, 정치 불신 등 사회 불만요인과 갈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더욱 큰 문제는 이러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대안을 찾기보다는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 자신들의 목적을 이루고자 하는 세력들이 득세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회적 갈등만 확산, 조장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과정에서 우리는 이러한 부작용을 목격한 바 있다. 갈등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따져 그 책임을 전가하는 데만 몰두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는 계층을 망라하고 불만과 갈등이 팽배해 있다. 특히 당당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찾기도 전에 좌절하는 젊은 세대들의 기성정치권, 기득권층에 대한 반감과 불신이 정치는 물론 경제와 사회 전 분야의 건전한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형국이다. 역사상 가장 스펙이 좋다는 이들은 정보혁명이라 할 수 있는 SNS를 통해 퍼져가고 있는 잘못된 정보를 맹신하는 경우도 많으며, 괴담 수준의 정보가 무분별하게 확산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은 상상을 초월한다.
그렇다고 해서 이들의 분노를 부추겨 사회 갈등을 증폭시키거나 여기에 편승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제 치열한 경쟁에 지치고 힘들어하는 젊은 세대들의 고통을 어루만져주고 함께 고민하는 노력이 절실하다. 이들의 잘못된 인식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당면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우리 기성세대와 정치권의 책임 있는 자세라 할 수 있다.
정략이 아닌 합리적인 정책으로 청년들을 설득하고 미래의 청사진을 제시함으로써 이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 단지 20~40대의 표(票)를 의식해서 인기에 영합하는 정책을 쏟아내기보다는 국익의 관점에서 고민하고 비전을 제시하는 원칙과 소신이 절실한 때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