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고령화, 금융위기 초래할 수 있다”
뉴스종합| 2012-06-24 15:50
[헤럴드생생뉴스]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가 금융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준협 연구위원은 24일 ‘인구 5000만명 시대와 인구보너스의 소멸’ 보고서에서 “1966년부터 2012년까지 우리나라는 ‘인구보너스’ 즉 생산가능인구의 비중이 상승하고 총부양비가 하락하면서 경제성장이 촉진되는 효과를 누렸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특히 베이비부머(1955∼1974년생)가 생산가능인구로 진입하며 생산가능인구의비중이 54.9%(1970년)에서 68.6%(1989년)으로 급등해 실질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연평균 9.3%에 달했다.

그러나 “생산가능인구 비중이 2012년 73.1%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2013년부터 감소해 잠재성장률이 크게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우려인 것이다.

베이비부머가 고령인구로 편입될 경우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71.1%(2020년)에서 57.0%(2039년)로 급락하고, 잠재성장률도 2030년에는 1.7%까지 떨어진다는 전망이다.

뿐아니라 취업자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생산주력세대가 현재 40대에서 2028년에 이르면 ‘60대 이상’으로 교체된다고 내다봤다.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금융위기가 발생할 수 있는 토양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덧붙여졌다.

결국 “생산가능인구의 비중이 최고점을 지나 떨어지면 부동산 수요가 급감하면서 부동산 거품이 꺼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이 보고서는 “일본, 미국, 스페인, 아일랜드 모두 생산가능인구의 비중이 정점을 지나면서 자산수요가 급감해 부동산 버블이 붕괴되고 금융위기를 맞았다. 인구구조의 악화가 금융위기의 직접적 원인은 아니지만 금융위기 발생의 토양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해법은 고용률에 있었다. 보고서는 “2013년부터는 고용률을 높여 인구보너스 효과를 연장시켜야 한다”면서 “고령인구·여성·청년 등 취업 애로계층의 고용률을 높여 실업·인력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외국·북한 인력 활용방안을 모색하며, 출산장려책은 장기적으로 꾸준히 펼쳐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