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벤처
“中 왕성한 대외투자 유치, FTA효과ㆍ한북중 공동경제권 활용해야”
뉴스종합| 2012-11-04 09:50
[헤럴드경제=조문술 기자]중국의 왕성한 대외투자를 유치하려면 우리나라의 자유무역협정(FTA)효과와 함께 북한을 포함한 한ㆍ북ㆍ중 공동경제권 구상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4일 중소기업연구원(원장 김동선) 분석에 따르면, 중국은 해외직접투자 규모는 1990년 45억달러에서 2011년 3660억달러로 20여년간 82배나 급성장했다. 순위도 2000년 세계 35위에서 2010년에는 미국 독일 프랑스 홍콩에 이어 세계 5위로 올라섰다.

그런데 2010년 기준 중국의 대외투자는 홍콩ㆍ마카오 등 아시아 지역에 집중돼(71.9%) 있다. 특히 홍콩에만 62.8%를 투자했다.

이어 라틴아메리카(13.8%), 아프리카(4.1%), 유럽(5.0%), 오세아니아(2.7%), 북아메리카(2.5%)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에 대한 투자는 0.2%(6억4000만달러)에 불과했다. 그나마도 서비스업과 부동산 투자 등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마디로, 직접투자 매력이 거의 없다는 뜻이다. 원인은 OECD국 최하위 수준인 낮은 노동생산성 및 경제자유도, 첨단고기술 부재 등이다.

따라서 활발한 중국의 투자를 유치하려면 ▷중국 투자자의 시각에서 투자유인을 모색하고 ▷인력유입 문제에 대한 유연한 접근 ▷한ㆍ중 FTA와 병해해 중국특화 유인책의 강구가 시급하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특히, 미국ㆍEU 등과 FTA를 체결한 국가로서 선진 거대시장으로의 진출에 상대적인 이점이 있다는 점을 적극 알려야 할 필요가있다는 주장이다. 투자유치의 잠재적 경쟁국인 일본과 관련해서는 중국내 반일정서, 우리나라의 지리적 근접성 등을 전략적으로 활용할만 하다고도 했다.

이와 함께 북한의 저임금 노동인력 활용을 통한 ‘한ㆍ북ㆍ중 공동경제활동’의 이점도 적극 활용하라고 연구원은 강조했다. 이밖에 중국으로부터 되돌아오는 국내 및 외국계기업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인센티브를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를 위해 북한 노동력 활용이 가능한 ‘한ㆍ북ㆍ중 합작 클러스터’를 남북 접경지역에 조성하는 것도 한 방안으로 제시했다.

이준호 중소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대중국 투자유치 전략창구로 한ㆍ북ㆍ중 합작 클러스터, 중국 유턴기업 입주단지, 한ㆍ중 첨단산업 및 서비스산업 공동 R&D 특구 등을 조성해야 한다”며 “지자체별로 분산된 대중국 투자유치사업도 국가 차원에서의 종합적으로 추진할 때”라고 밝혔다.

/freiheit@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