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기온 ‘뚝’ 떨어지면 심장은 ‘철렁’…심장마비 주의보
라이프| 2012-12-03 07:32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날씨가 추워지면 우리 몸의 혈관도 바짝 움츠려든다.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혈관을 수축시키는 것이다. 문제는 갑작스럽게 혈관이 수축하게 되면 혈액이 지나는 통로가 그만큼 좁아져 혈압이 상승, 심장운동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심하면 심장 기능이 일시적으로 마비되는 심근경색을 일으켜 돌연사에 이를 수 있다.

▶심장마비, 겉만 멀쩡한 젊은층도 노린다 = 심장질환은 대표적인 ‘중년의 병’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엔 서구화된 식습관과 흡연, 스트레스로 인해 발병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심장질환 환자 수치 역시 꾸준히 증가해 증가율만 놓고 보면 서구사회를 앞지를 정도다.

심장질환 가운데서도 갑작스럽게 증상이 나타나 사망에 이르는 심장마비의 80~90%는 동맥경화에 따른 관상동맥 질환이 원인이다. 1년에 1000명당 1~2명꼴로 환자가 발생하며 여자에 비해 남자가 4배 정도 많다. 기존에 심장병을 앓은 환자의 50%이상은 급성 심장마비로 사망한다. 이러한 동맥경화성 심장병 환자가 돌연사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대부분 부정맥이지만 대동맥류파열, 심장파열, 폐색전증 등으로도 발생한다.

▶아무리 갑작스러워도 전조 증상은 있다 = 심장마비는 4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는 심장마비가 발생하기 수일 또는 수개월 전부터 가슴통증, 호흡곤란, 피로감 등이 나타나거나 점차 심해지는 단계다. 그러나 25% 정도의 환자는 1단계 증상을 건너뛰기도 한다. 2단계는 급성증상의 시작으로 심장마비가 발생하기 직전이나 1시간 이내에 부정맥, 저혈압, 가슴통증, 호흡곤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3단계는 부정맥 발생으로 심장기능은 정지되고 의식이 상실되는 단계로, 즉각적인 치료를 하면 소생이 가능하다. 4단계는 즉각적인 소생술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생물학적 사망으로 모든 생체기능이 중지되는 것을 뜻한다.

만약 1단계 전조증상이 나타난다면 즉각 심장 전문의를 찾는 게 가장 중요하다. 특히 겨울철 찬바람을 갑자기 쐬고 나면 가슴이 뻐근하다든가 두근거리면 주의해야 한다. 잠을 잘 때 가슴이 답답해 깬 적이 있다면 역시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

가족력도 꼼꼼히 살펴야 한다. 가족이나 형제, 친지 중에 고콜레스테롤, 고혈압, 당뇨가 있거나 심장질환을 앓고 있다면 심장질환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물론 본인이 관련 질환이 있거나 흡연과 함께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다면 검사가 필요하다.

▶응급처치 10분에 생사가 달렸다 = 급성 심장마비는 신속한 치료가 생명이다. 박창규 고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교수는 “심장마비는 치료를 놓치면 대부분 사망하게 되고 생존하더라도 뇌사 상태 등 심각한 휴유증을 남긴다”고 설명했다.

급성 심장마비 환자의 예후는 심폐소생술의 신속성, 원인 부정맥의 종류와 원인질환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다. 일단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구조를 요청하고 심장 마사지와 인공호흡을 해야 한다. 급성 심장마비 환자의 약 3분의 2는 처음 1시간 이내 사망한다.

때문에 신속한 심폐소생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치사 부정맥은 발생 후 1분 안에 치료하면 성공률이 80%이상인데 반해 10분이 지나면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게다가 급성 심장마비로 인한 사망의 경우 90%가량이 병원 외 지역에서 발생하고 집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75%에 이른다. 평소 환자 가족은 물론 일반인도 응급처치법과 심폐소생술을 익혀 둬야 하는 이유다.

[도움 = 고대 구로병원]

/kwy@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