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제
붕괴 임박 vs 단기 현상…‘도돌이표’ 亞외환위기설 두가지 시선
뉴스종합| 2013-08-26 11:16
닮았다, 준비하라
선진국 긴축정책에 대규모 자금이탈
주가·통화·채권 ‘트리플 약세’ 재연
수출감소…경제구조적문제 수면위로

다르다, 안심하라
탄탄한 외환보유액 완충역할 충실
전문가 “스스로 보험 들어둔 상태”
낮은 단기외채도 위기가능성 낮춰



1997년 아시아를 뒤흔든 외환위기 망령이 되살아나고 있다. ‘외국인 자본이탈→주식시장 폭락→통화가치 급락→외환보유액 급감ㆍ금리 급등→외환위기’라는 이른바 주가ㆍ통화ㆍ채권이 동시에 하락하는 ‘트리플 약세’ 공식이 16년이 지난 현재 다시 재연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경기둔화로 인한 수출 감소와 경상수지 악화도 닮은꼴로 지적되고 있다. 


▶이것이 똑같다=최근 신흥국 상황은 선진국의 통화정책이 긴축으로 돌아서면서 대규모 자금이 이탈하고, 경상수지가 악화하며 단기 외채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1990년대 상황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1990년대 자본 자유화와 함께 고속성장하는 동아시아 신흥국으로 외국인 투자자금과 함께 핫머니(단기성 투가자본)가 대거 몰려들었지만 글로벌 자금 유입으로 통화가치가 오르면서 무역수지가 악화하고 그로 인해 성장세가 둔화하면서 고속성장에 가려졌던 경제 구조적 문제가 불거져 나왔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이 시장에 풀어놓은 막대한 유동성이 신흥국으로 유입됐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양적완화 축소 우려에 글로벌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현재와 닮아 있다.

글로벌 투자자는 미국 출구전략에 따른 금리상승으로 신흥국 투자금에 대한 조달비용이 높아질 수 있는데다 금리가 오른 미국 채권 등에 투자하기 위해 뉴욕행을 서두르고 있다.

▶이번엔 다르다=하지만 2013년판 아시아 금융위기 우려는 1997년에 비해 훨씬 강도가 약하다는 것이 전문가의 대체적인 견해다.

무함마드 엘 에리언 핌코 최고경영자(CEO)는 “신흥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는 있지만 1990년대에 비해 체질이 탄탄해졌기 때문에 그때 같은 붕괴 위험은 없다”고 역설했다.

엘 에리언은 신흥국에서 “매우 탄탄한 외환보유액이 완충 역할을 하고 있고, (1990년대에 비해) 정책 신뢰도가 높으며 환율도 유연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모두가 다 그런 건 아니지만 대부분은 1990년대에 비해 스스로에 훨씬 더 높은 보험을 들어둔 상태”라고 덧붙였다. 또 1997년 IMF에서 아시아 지역을 담당했던 스티븐 슈바르츠 BBVA 아시아 부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만약 아시아 금융위기를 10 정도로 본다면 현재 상황은 3 수준”이라면서 “이번 사태는 단기적인 현상이며, 조만간 지나갈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외환위기 우려에도 불구하고 현재 신흥국의 외환보유액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 80억달러에 불과했던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3300억달러로 증가했다. 태국은 IMF 구제금융 신청 당시 외환보유액이 ‘제로’ 수준이었지만 현재는 1700억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무엇보다 단기외채 비중이 낮다는 점이 제2의 외환위기 우려를 희석시키는 부분이다. 한국투자증권 전민규 애널리스트는 “단기 외채 비중이 높지 않고 외환보유액이 단기 외채에 비해 훨씬 많아 당장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1996년 말 태국과 인도네시아의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 외채 비율은 각각 123%, 181%를 기록했다. 한국은 무려 228%에 달했다. 하지만 2013년 1분기 현재 태국과 인도네시아의 비율은 각각 35%와 46%로 낮아졌다. 한국과 인도도 각각 37% 수준에 머물고 있다.

중국의 위상이 달라진 점도 주목할 만하다. WSJ는 “1997년 위기 전에는 일본이 아시아 각국의 경제성장을 견인했지만 2000년대는 중국이 세계 경제대국 2위로 올라섰다”며 외환보유액이 3조5000억달러로 세계 1위라는 점을 상기시켰다. 

천예선 기자/cheo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