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8년 서울올림픽때 日 주장이 시발점
양국의 김치대첩의 발단은 1988년 서울올림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김치가 공식 식품으로 지정되자 일본은 ‘기무치가 김치의 원조’라며 대내외적인 홍보전을 펼쳤다. 1993년 일본을 방문 중인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의 공식 만찬에서도 기무치를 선보였다.
김치와 기무치는 재료는 물론 담그는 방법, 숙성 과정에서도 큰 차이가 난다. 한국의 김치는 고춧가루와 마늘, 젓갈 등의 양념이 어우러져 젓산균에 의해 자연 발효된 건강식품인 반면, 일본의 기무치는 정제염으로 간을 한 절임 배추에 화학첨가물이 들어간 겉저리 격 식품이다. 젖산 발효과정도 없어 김치에 비해 영양이나 기능 면에서 현격히 떨어진다.
한국과 일본은 지난 25년간 세 차례의 김치전쟁을 벌였다. 1차는 1996년 김치의 국제 표기가 도화선이 됐다. 일본은 국제식품규격 표준으로 ‘기무치(kimuchi)’를 등록하기 위해 국제심사단에 로비를 하는 등 갖은 노력을 벌였지만,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는 결국 ‘종주국’인 한국의 손을 들어줬다. CODEX는 2001년부터 일본도 김치를 수출할 때 ‘kimuchi(기무치)’가 아닌 ‘kimchi(김치)’로 표기하도록 했다. 2차는 김치의 규격이 문제가 됐다. 하지만 당시에도 ‘젓갈을 넣고 발효’시키는 한국의 김치가 표준으로 인정받았다.
마지막으로 2005년 중국산 김치의 기생충 알 파동은 한ㆍ일 네티즌 간 민족 분쟁으로 비화했다. 일본의 일부 네티즌은 기이한 뇌 사진을 올려놓고 “김치를 먹은 한국 사람의 뇌”라면서 “기생충 알이 발견된 김치는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음식”라고 비하했다. 또 일본 정부에 ‘한국산 김치 수입 전면금지’를 촉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김치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가 확실시되면서 일본의 ‘기무치가 원조’라는 꼼수는 설 자리를 잃게 됐다.
또 최근에는 과반수가 넘는 일본인이 “한국의 김치를 좋아한다”는 설문 조사가 나와 눈길을 끌기도 했다. 일본의 조사업체인 ‘리서치판넬’은 일본 네티즌 16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61%에 달하는 일본인이 “김치를 좋아한다”고 응답했다고 전했다. 김치를 좋아하는 이유로는 “김치찌개와 김치볶음밥을 좋아한다” “맥주와 잘 어울린다” 등이 꼽혔다.
천예선 기자/che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