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제
[위크엔드] 세계화에의 반격…농장서 식탁까지 거리 좁힌다
뉴스종합| 2014-01-17 11:09
소규모 영농으로 생산
제철에 난 채소·과일 등
그 지역 소비자가 소비하고
소비자가 생산자를 잘 알고
수송 거리가 짧으며
포장과 가공을 적게 한다




미국의 ‘100마일 다이어트 운동’, 일본의 ‘지산지소(地産地消)’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에서 불고 있는 ‘로컬푸드’ 열풍은 세계화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출발했다. 신자유주의 경제 아래서 세계 소비자를 겨냥해 대량 생산하는 ‘글로벌푸드’의 문제점이 수면 위로 부상하면서부터다. 수입산은 식품 안전성이 제일 큰 문제다. ‘광우병으로부터 안전할까?’ ‘농약 잔류량은 얼마나 될까?’ ‘방부제와 항생제는 도대체 얼마나 썼을까?’ 등 숱한 의문이 생기지만 소비자는 그 답을 찾을 수 없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단절된 탓이다.

로컬푸드는 내 식탁에 오르는 먹거리는 내 집 근처에서 찾자는 운동이다. 먹거리의 출처 파악이 명확해 각종 질병과 재해로부터 스스로 보호했던 옛 농경사회의 장점을 살려 식탁에서부터 농장까지의 거리를 줄이자는 운동이다. 도시 근교의 주말농장, 학교 텃밭, 도심 빌딩 옥상 농장 등 도시농업도 이런 로컬푸드 운동의 일환이다.

로컬푸드 이점의 첫 번째는 안전성이다. 생산자 파악이 쉽고, 무엇보다 근거리에서 섭취하므로 방부제 없이 신선하다. 식재료를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다. 수입산 ‘글로벌푸드’와 가장 대별되는 점이다. 김종덕 경남대 사회학과 교수는 “글로벌푸드는 수출업자와 수입업자의 불순한 의도가 작용할 수 있고, 소비자의 건강과 영양보단 이윤에 더 관심을 기울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소비자와 생산자의 직거래 형태이므로 중간상인이 배제돼 값이 싸다. 대형할인점이 전국 각 시도 지역으로 진출하기 이전에 활성화했던 재래시장이나, 지역 특산물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5일장, 아파트 대단지 주변에 발달했던 노점상 등을 생각해보라. 우리나라의 경우 할인점 등 유통 대형화로 인해 점점 더 재래시장이 사라지고 있지만 선진국의 흐름은 반대다. 일본의 ‘농민시장(산지직송 농산물 직매장)’은 일본 전역에 1만7000여개까지 늘어났다.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미국에서 ‘농민시장’은 1998년 2756개에서 2009년 5274개로 늘었고, 농민시장을 통한 직거래 판매는 1997년 5억5100만달러에서 2007년 12억달러로 10년 사이 두 배 규모를 이뤘다.


‘로컬푸드’가 더 친환경적이다. 각 지역의 기후에 맞는 농산물을 빠르게 유통시키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축할 수 있는 구조다. 또 생산과 소비가 같은 지역 공동체 안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지역감시가 쉽다.

경제적 효과도 빼놓을 수 없다. 소비자와 생산자 측면의 가격적인 이점 외에도 고용 창출 등 경제 활성화에 더 유리하다. 미국 아이오와주에선 ‘농민시장’ 152개가 등장한 뒤 576개 일자리가 창출되며, 생산량이 5940만달러어치 증가하고, 수입이 1780만달러 늘었다는 보고(2010년 후드대학)도 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에선 대형마트가 1명을 채용하면 지역 일자리 3개가 없어진다는 보고도 있다. 우리나라에서 ‘로컬푸드’ 운동은 지역 농가를 살리기 위한 측면이 강하다”고 말했다.

이 밖에 지역 특산물이나 지방 토속음식 등 지역 식문화에 대한 지역민의 관심을 제고하고 자라나는 세대에게 교육함으로써 지역문화를 보존, 발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런 로컬푸드에 대한 각국 정부의 지원도 늘어나는 추세다. 미국은 2000년대 초반 학교 급식 프로그램의 안전성 문제가 대두된 뒤 연방정부는 로컬푸드를 대안으로 삼아 ‘FTS(Farm to School)’를 도입, 각 학교가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를 구매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영국 런던은 2006년 런던푸드위원회를 설치하고, ‘런던의 먹거리’를 반경 160㎞ 이내로 규정해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수입을 줄이고 식량 자급자족 능력을 높이고 있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