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위크엔드] 이공계 발목잡는 정관계
뉴스종합| 2014-07-04 07:07
[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전자공학과 출신이다. 입법부 수장인 정의화 국회의장은 의학과 출신이다. 둘 모두 ‘이공계’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이끄는 정부의 고위 공무원들 가운데 이공계 출신은 20%도 되지 않는다. 국회의원들 가운데도 이공계 출신 비율은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나마 늘어난 숫자라는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이다.

국회 등에 따르면 19대 국회에 입성한 이공계 출신 의원은 24명이다. 의원 정수(300명)를 고려하면 약 8% 가량만이 이공계 출신들이다. 18대 국회 때 21명 보다는 늘었지만, 국내 100대 기업 최고경영자(CEO) 가운데 이공계 비율(56%)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수치다.

국회 내에서도 이공계 출신들이 ‘과소 대표’ 되고 있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온다. 대표적인 것이 2012년 총선 직후 새누리당 내에 마련된 ‘이공모임(이공계 의원 모임)’이다. 박 대통령도 대통령 당선 전 이공모임 구성원이었다. 새누리당 의원 22명으로 구성된 모임 대표는 서상기 의원이 맡았고, ‘나영이 주치의’로 알려진 신의진 의원, 부산 봉생병원 원장 출신이자 현 국회의장인 정 의장도 이공모임 소속이다. 이들은 매달 정기 모임을 갖고 과학기술계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해왔다.

고위직 공무원들 가운데 이공계 출신 숫자도 극히 적다. 새정치민주연합 이상민 의원이 2013년 공개한 국감 자료에 따르면 50개 중앙행정기관의 3급 이상 공무원(1244명) 중 129명(10.4%)만이 이공계 출신인이다. 이는 지난 이명박 정부 당시(2010년) 13.7%보다 이공계 비율이 더 낮아진 것이다. 특히 국가 연구개발(R&D) 예산편성 부처인 기획재정부, 국무조정실,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17개 부처에는 이공계 고위 공무원이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정치권과 관가에 이공계 출신 인사들의 진입율이 저조한 것은 ‘끼리끼리 문화’와도 무관치 않다. 총선이 치러질 때마다 검사와 판사 등 율사 출신 인사들이 ‘선배 의원’들의 끈을 잡고, 국회에 입성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관가 역시 행정고시 등을 통해 공무원이 된 인사들이 많고, 공무원 준비 인원 가운데 인문계 출신 인사들의 숫자가 많은 것도 이공계 인사 숫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반면 해외의 경우 이공계 인사들이 정부 요직에 오른 경우도 적지 않아 비교된다. 미국의 경우 조지 워싱턴(독학한 측량사), 허버트 후버(지질학), 지미 카터(공학)가 이공계 출신이고 영국의 대처(화학) 일본 하토야마(계수공학), 시진핑(공정화학부), 후진타오(수리공정과), 장쩌민 (전기학) 등도 이공계출신이다. 박 대통령과 친분이 깊은 독일 메르켈 총리도 물리학 전공자다.

hong@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