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
[데이터랩] 노사정 '메신저' 김대환 위원장의 묘수는?
헤럴드경제| 2014-07-30 11:06

 헤어진 연인은 원수가 되기 십상이다. 연정과 악감정은 종이 한장 차이다. 다시 만나기 위해선 획기적인 뭔가가 필요하다. 그만큼 어렵다는 얘기다. 그런데 뭔가 변화의 기미가 보인다.

김대환(66)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위원장이 서로 등돌린 ‘노사정’(勞使政)에 메신저 역할을 톡톡히 했다. 물론 노동계가 완전히 마음을 돌린 건 아니다. 한국노총이 조건부로 한번 나가볼 마음이 있다는 정도다.

그동안 김 위원장은 이름뿐인 식물 위원장과 다름없었다. 작년 12월 철도노조에 대한 공권력 행사에 반발해 한국노총이 노사정 협의체를 탈퇴했기 때문이다. 그는 협상테이블에 사람들을 앉히려 물밑 작업을 계속했지만 주변의 도움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 원직을 강조하는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고용노동부 장관이 움직여 주지 않았다. 한 노동계 인사는 “김 위원장이 수차례나 전임 현오석 전 부총리를 만나려 했지만 성사되지 않았던 걸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경환 부총리의 취임은 김 위원장에게 큰 힘이 됐다. 그는 정치력을 가진 부총리다. 게다가 대화와 협상을 중시하는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도 새로 임명됐다. 김 위원장으로선 단번에 골치 아팠던 부분이 해결된 셈이다. 노동계에도 노사정위에 복귀할 명분이 생겼다. 


문제는 앞으로 어떤 판을 짜느냐다.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는 아직 미지수다. 공공부문 정상화를 논의할 회의체를 설치하면 거기에 참여한 뒤 노사정위 복귀 여부에 대한 내부 의견을 수렴하겠다 입장이다. 게다가 민주노총은 아직 아무 대답이 없다. 지난 1999년 노사정위에서 탈퇴한 민주노총은 그 이후 단 한 번의 눈길도 주지 않는다. 한 술 더 떠 최근에는 정권 투쟁에 더 적극적이다. 복귀를 한다해도 노사정위는 언제 깨질지 모르는 살얼음판이다.

첨예하게 대립중인 노동계 현안들은 여전히 부담스럽다. 통상임금 확대, 근로시간단축, 정년연장 등 앞으로 다뤄야 할 문제들은 참여 주체들간에 소통과 합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칫 각자의 주장만 하다 타협안이 도출되지 못할 수도 있다.

김 위원장은 ‘늘 줄 건 주고 받을 건 받자’는 협상 철학을 얘기해왔다. 힘으로만 부딪히면 혼란을 부추길 뿐 결국 노사 모두 공멸한다고 강조해왔다. 그의 평소 생각이 텅 빈 노사정위 테이블을 채우고 꽃 마져 피우게 되기를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고 있다.

허연회 기자/okidoki@heraldcorp.com

랭킹뉴스